- Today
- 568
- Total
- 42,194,172
목록통계 (174)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지리한 법정 싸움과는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 팽팽한 판매량 싸움. 거기에 서로 준비하는 차세대 기기에 대한 기대까지 얹혀서 스마트폰 시장 자체를 양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두 회사. 바로 삼성전자와 애플인데요. 애플이야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고 끌어가기 대왕이니 그렇다치고 안드로이드를 메인 OS로 간택한 후 폭풍 성장한 삼성전자의 모습은 실로 대단한데요. 어느새 전체 스마트폰 제조사중 최고의 판매량을 보이는 세계 제일의 업체가 되었죠. 하지만 애플과의 첨예한 대립은 해를 넘겨서 계속되고 있는데요. 투자 vs 성적... 삼성전자 vs 애플... 여기 그 두 메이커의 전투력(?)을 살펴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이 한장 있습니다. 2012년을 기준으로 양사의 요모조모를 비교한 건데요. 가볍게 살펴보실까요? 201..
휴대전화 보급도 빨랐던 나라여서일까요? 스마트폰 보급 속도, LTE 보급 속도 역시 광속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손에 스마트폰을 쥐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는 게 어렵지 않은데요.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카톡만 하는 것 같지만 모바일 검색 역시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데요. 국내 연구 결과는 아니지만 구글과 닐슨이 함께 조사한 이 인포그래픽을 보고 있자니 우리가 예상하는 것과 모바일 검색에서 이뤄지는 것들이 조금은 다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모바일에선 언제나 검색하고 즉시 행동한다... 집이나 사무실에선 모바일, 그러니까 스마트폰으로 검색하기보다 PC로 검색을 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이들은 이동중에는 고작 17% 정도만 검색을 했고 77%의 대다수의 검색은 집과 회사에서 이뤄진다고 하더라..
혹시 희토류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사전에서 찾아보니 희토류는 '주기율표의 17개 화학 원소의 통칭으로, 스칸듐(Sc)과 이트륨(Y), 그리고 란타넘(La)부터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 15개 원소를 말한다'라고 소개되어 있던데요. 이름에서 느껴지는 뉘앙스(?)처럼 희토류는 제법 희귀한 탓에 나라간의 마찰로까지 이어지곤 하는데요. 희귀하다고 해도 나라간의 마찰로 비화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셨다면 이 인포그래픽이 그런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 안에 들어가는 희토류는... CNET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에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희토류가 무엇인지, 어디에 쓰이는지 알려주고 있는데요.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만들거나 유리를 다듬고 기판을 만들고 스피커 등에 만드는 등 다양한 분야에..
지난 주에 러시아에 SF영화에서나 보던 운석우가 실제로 쏟아졌죠. 근래 보기 드문, 아니 종종 지구 종말 시나리오에나 등장하던 운석들이 쏟아져 내린건데요. 푸른 하늘에 길게 꼬리를 내며 불타던 운석들이 쏟아지면서 무려 1,200명의 인명 피해를 일으켰는데요. 이렇게 말도 안되는 천재지변으로 사고를 당해 죽음에 이를 확률은 어느 정도 될까요?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국인 기준이긴 하지만...^^ 이번에 러시아를 강타한 운석우에 맞아 사망에 이를 확률은 74,817,414분의 1이라고 하는데요. 로또 1등이 될 확률과 비교해도 말도 안될 정도인 확률을 러시아는 온몸으로 막아냈네요.;; 심장병부터 운석우까지 죽음에 이를 확률은... 그런가하면 불꽃놀이 폭죽에 맞아 죽을 확률은 5,072만분의 1, 벌에 쏘여 ..
2005년부터 기록되기 시작한 제 블로그의 방문자 카운터가 어느새 1,700만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이 길어지면서 하루하루 쌓여가는 방문자 숫자에 일히일비하지 않는 수준까지 왔지만 그래도 문득 돌아봤을때 한참 달려왔구나라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게 요런 숫자들인데요. 한참전부터 일 방문자가 1만명이 안되는 상황이었기에 1,600만에서 1,700만이 되기까지 시간도 많이 흘렀지만 공개된 5,000여 개의 글이 검색되고 제 블로그를 RSS 리더 등으로 읽어주시고 직접 방문해 주시는 덕분에 지금의 라디오키즈@LifeLog가 부지런히 달려갈 수 있었던게 아닌가 싶네요. 라디오키즈@LifeLog도 1,700만을 향해...^^ 그래서 이번에도 소박한 이벤트를 하나 준비해봤는데요. 아직 선물을 결정하진 않았지..
피처폰과 스마트폰 보급이 빠르게 정점에 달한 우리나라는 이미 가입자가 전체 인구숫자를 뛰어넘었는데요. 국내는 그렇다치고 글로벌에선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까요? CDMA와 GSM을 넘어 WCDMA, LTE 등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통신망에 기반해 사람들 손에 들려있는 휴대전화들. 우리나라는 3개의 이통사들이 자웅을 겨루고 있지만 전세계로 확대하면 186개국에서 무려 580여개의 이통사들이 활발히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16억명을 돌파한 전세계 휴대전화 사용자... 이 인포그래픽을 보아하니 2013년 1분기까지 3G와 4G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16억명이나 된다고 하네요. 아니 아직 1분기가 끝난게 아니니 1분기가 끝나는 시점에는 16억명에서 몇만명 이상은 늘어나있겠죠. SKT와 KT가..
크리스마스 시즌은 그해를 마무리하며 서로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시기죠. 덕분에 다소 고가이긴 해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디지털 기기들 역시 많이 팔리고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팔렸는지는 의문이지만...^^;; 크리스마스에는 스마트 디바이스 판매가 폭증한다... Flurry의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으로 올해도 크리스마스 시즌에 iOS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기기들의 판매가 훌쩍 늘었다고 합니다. 매년 비슷한 패턴으로 이즈음 판매량이 늘어난다고는 하지만요. 크리스마스 시즌 새롭게 개통된 녀석들만 12월 평균인 400만대의 3배를 넘기는 1,740만대나 될 정도로 폭발적으로 팔려나갔고 이 시기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숫자 역시 12월 평균 대비 112%나 늘어난 3.2억건이나 다운로드 됐다고 합니다. ..
2012년의 마지막 날. 지난 2012년의 라디오키즈@LifeLog를 돌아보는 마지막 포스트를 정리해 보렵니다. 그렇다고 뭔가 -_- 거창한 이야기를 늘어놓기엔 제 기억력에 한계가...ㅠ_ㅠ 일단 평범한 통계부터 정리해볼게요. 올해도 통계 정리는 2009년부터 활약해준 Tistat에 맡겼습니다. 그간 쌓인 데이터가 좀 되다보니 통계 나오는데 시간이 좀 걸리네요. 우선은 2012년 결산 통계부터... 지난 1년간의 전체 발행 글 수는 732건. 월별로 정리해보니 이렇더군요. 2012년 1월 60 2012년 2월 63 2012년 3월 63 2012년 4월 59 2012년 5월 60 2012년 6월 57 2012년 7월 66 2012년 8월 65 2012년 9월 59 2012년 10월 60 2012년 11월 ..
스마트폰 시장이 얼리면서 우리나라에 가장 수혜를 입은 앱 카테고리를 꼽으면 아마도 모바일 메신저를 꼽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그래도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느라 폰만 쥐면 조용했던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조용하게 만들어버린 마성의 앱. 특히 카카오톡의 경우 국내 시장을 지배하면서 특유의 네트워크 효과로 메신저를 넘어서 게임 플랫폼 등으로 무한히 확장해가고 있는데요. 그럼 글로벌 시장에서의 모바일 메신저 경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살펴볼까요? 이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건 각 메신저앱들의 시장 점유율인데요. 스마트폰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해주는 ONAVO의 지표를 참고한 거라고 합니다. 유럽에서 선전하는 왓츠앱, 북미에선 잠잠... 페이스북 메신저(Facebook Messenger)와 왓츠앱(Whatsa..
아침 저녁 출퇴근, 뭐 그 사이에도 짬짬이 즐기는 게임들 있으시죠? 요즘엔 늘 몸에 달고 다니는 스마트폰에서 즐기시는 분들이 많으니 이전보다 게임을 즐기는 인구나 게임에 보내는 시간 모두 더 늘어났을 듯 한데요. 시대에 따라 변화해온 게임 플랫폼과 장르들... Kurt White란 양반이 정리한 두개의 도표를 살펴보니 우리가 즐기고 있는 비디오 게임의 변화가 한눈에 들어오네요. 꼬꼬마 시절 오락실에서 즐겼던 게임부터 손안의 오락실 스마트폰에서 즐기는 게임까지 시대별로 인기있었던 장르를 정리한 건 물론 시대에 따라 달라진 플랫폼의 변화상도 보이는데요. 눈에 띄는 건 초반 단순한 아케이드와 레이싱 등의 장르가 기술의 진보와 함께 다양한 장르로 분화하고 진화한 모습이죠. 최근엔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간단한 퍼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