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614
- Total
- 42,210,568
목록통계 (174)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저작권을 침해하는 콘텐츠 유통의 대명사처럼 불리우지만 비트토렌트는 사실 잘 만들어진 데이터 전송 서비스죠.다수의 사용자가 필요한 파일을 공유하면서 공유의 속도와 편의성을 높였기 때문인데요. 올해도 전세계의 인터넷 트래픽을 상당 부분 점유하며 엄청난 트래픽을 일으켰을테죠. 비트토렌트 전문 사이트인 토렌트프릭(TorrentFreak)이 올해 토렌트 검색 엔진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 50개를 뽑았는데요. 비트토렌트 사용자들이 자주 찾은 키워드가 뭔지 궁금하셨다면 살짝 보고 가시죠. 2013년, 토렌트 세상에서 인기를 끈 검색어들은... 일단 비트토렌트 검색어 탑 50은 이렇답니다. 1. yify 2. world war z 3. iron man 3 4. breaking bad 5. man of steel 6..
하루하루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와 연말. 올 크리스마스는 어떻게 보내실 생각이신가요? 데이트부터 여행까지 스케줄이 꽉 차 있으신 분들도 있겠지만 저처럼 -_- 그냥 올해가 가는구나, 새해가 오면 한살 더 먹겠네 정도의 감흥만 가지신 분도 없지 않을텐데요. 한해를 마감하며 크리스마스를 맞이하는 미국인들의 자세... 크리스마스하면 떠오르는 온갖 이미지에 대해 잘(혹은 코믹하게) 정리된 인포그래픽이 있어 살짝 소개해 봅니다.우리네와 조금은 정서가 다른 미국 얘기긴 하지만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이하는 그들의 일상을 조금은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우선 최고의 크리스마스 영화~ -_- 의외네요. 우리의 캐빈이... 매번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찾아오는 그 소년이 고작 8위를 차지하고 있다니. 또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하기..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영토를 넓히며 계속되고 있는 인터넷의 빠른 성장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채 바꿔놓았습니다. 단순히 바꿨다 정도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극적인 변화를 꾀했으니까요. 하지만 이런 변화는 여전히 놀라운 속도로 진행중이죠. 그래서 종종 그와 관련된 통계들이 쏟아지곤 하는데요. 예컨대 60초 동안 인터넷 세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일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인포그래픽 같은 것들이 그 한 예랄까요? 관련해서 이전에 몇차례 소개해드린 것들이 있었죠. 2013/08/05 - 2013년 7월, 60초 동안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일들... 인포그래픽 by Qmee2013/06/18 - 구글부터 페이스북까지, 60초 동안 인터넷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 by Buzzfeed2011/06/21 - 지금 이 ..
시시각각 일상과 생각을 사진으로 공유하는 서비스 인스타그램.얼마전 지인들에게 사진을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 다이렉트까지 선보이면서 사진 기반 SNS로의 방향성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인스타그램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적잖죠. 저만해도 인스타그램을 이용해 종종 마주치는 상황들을 올리는 편이고요. 이곳이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가장 사랑한 장소들... 자. 그럼 전세계에서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10억 이상의 의 사람들이 인스타그램에 가자 많이 올리는 사진은 어디서 찍은 걸까요? 인스타그램이 2013년을 결산하면서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핫했던 지역들을 소개했네요. 사진을 찍어 올린다는 건 그곳에서의 일을 더 많은 이들에게 공개하고 싶었다는 걸텐데... 우선 사진으로 만나보시죠. 이렇..
전세계가 긴 불황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크리스마스 시즌에 주고받는 선물의 규모도 흔들리고 있다고 하더군요. 프랑스는 몇년만에 전년대비 선물에 쓰겠다는 액수가 줄었다고 하고 우리나라도 이전에 비해 그리 후한 액수를 선물 비용으로 쓰지는 못할 분위기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리스마스 선물을 고르는 마음은 분주하실 겁니다. 무얼 사주면 좋을지~ 어떤 녀석들이 핫할지. 뭐 제가 올해 가장 핫한 제품을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이 인포그래픽을 통해 지난 반세기 동안 사랑받았던, 엄밀히는 미국에서 사랑받은 장난감들을 살펴보시죠. 미국 소년, 소녀들이 지난 50년간 사랑한 머스트 해브 아이템... -_- 아마 우리나라에서 이 녀석들과 친숙하시다면 그만큼 유복한 어린시절을 보내셨다는 뜻일 것 같네요. 저는 딱히 ..
원작을 가진 영화들이 넘쳐나는 요즘입니다. 영화 산업 자체가 많은 비용을 투자해 성공을 베팅하는 체제가 되면서 될성부른 영화, 즉 성공적인 원작이 있는 이야기를 이용해 영화를 만드는 게 일상적인 일이 됐거든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성공적인 원작이 성공적인 영화와 수익, 아니 평가를 받아내지는 못하는 게 사실이죠.설령 흥행에는 성공했다고 해도 독자와 관객의 평가는 냉정한 법. 여기 원작을 가진 영화들에 대한 인포그래픽이 있습니다. 영화와 원작 소설에 대한 독자와 관객의 평가를 비교한 자료인데요. 영화와 책, 그 둘의 은밀한 점수 비교... 익히 알고 있던 유명한 작품들. 예컨대 헝거 게임이나 호빗 시리즈, 레미제라불, 슬럼독 밀리어네어 같은 작품들이 흥미롭게 원작과 대립하는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는데요. ..
매년 여름 극장가를 흔드는 영화들. 우리는 그런 대작들을 흔히 블록버스터라고 부르는데요. 빠르면 5월께 찾아와 갈퀴로 돈을 긁어대는 영화들에 우리는 쉽게 열광하곤 하죠. 소위 물량과 비주얼을 아낌없이 투자한 영화들이다보니 일단 시각적으로 즐거운 작품들이 많으니까요. 덤으로 재미까지 있다면 기꺼이 돈을 들여 극장에서 줄을 서는데요. 그렇다보니 블록버스터들의 수익은 늘 우리에게 화제가 됩니다. 이 영화는 얼마나 사람이 들었는지 흥행 순위는 어떤지 꼭 체크할려고 하지 않아도 체크하게 되는 뭐 그런... 올 여름에도 수많은 작품들이 그렇게 극장에서 우리의 주머니를 털어갔는데요. 미국과 전세계에서 흥행에 성공하거나 실패한 영화들... 이 인포그래픽은 그렇게 올 여름,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에서 흥행 순위에 올랐던..
세계 3대 미항이라는 호주의 시드니. 그 시드니를 대표하는 건물을 꼽으라면 10중 8, 9는 거대한 조개를 얹어놓은 듯한 건축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를 떠올리실 겁니다. 1956년 덴마크의 건축가 욤 우촌의 디자인에서 출발한 이 거대한 건물은 조개나 요트의 매끈한 돛이 아니라 슬라이스된 오렌지 조각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저만해도 조개 껍데기를 형상화한 줄 알았더니만 잘려진 오렌지였다니...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이 외에도 여러분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 궁금해하실 내용들을 이 인포그래픽에서 만나보시죠.^^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개관 40주년을 기념해 시드니가 직접 정리한 인포그래픽에서요. 무려 10,000개를 넘기는..
단풍으로 국내 여행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는 가을이지만 여행가기 좋은 이 계절에 꼭 국내에만 머물겠다고 고집하시는 분들은 안계실 것 같은데요. 일상에 지쳐계시다면 기회가 된다면 당장이라도 공항에서 비행기를 잡아타고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실 겁니다. 늘 보던 풍경이 아니고 늘 먹던 음식이 아니고 늘 만나던 사람이 아닌 특별한 경험을 꿈꾸며 그렇게 해외로 해외로 떠나는 사람들은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요? 여기 비단 우리나라 사람들 뿐 아니라 전세계에 투어리스트들이 향하는 인기 도시들이 정리되어 있는데요. 전세계 투어리스트의 마음을 사로잡은 10개 도시... The Travelers Zone이 마스터 카드의 통계를 바탕으로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에는 2013년에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을 맞..
요즘도 하루에도 몇번씩 팩스를 주고 받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지만 과거에 비해 업무상이건 개인적인 일 때문이건 팩스를 주고받는 일이 줄어든 게 사실인데요. 시장에서는 꼭 그렇지 만은 않은 것 같네요. 다만 그 이용 형태는 달라지고 있지만요. 팩스, 아직은 사람과 회사를 잇고 있다... 아래 Fax87의 인포그래픽이 '팩스(Fax)'라는 공룡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했는데요. 온라인 팩스 서비스를 선보이는 업체답게 결론은 간단히 요약되는 편입니다. 팩시밀리, 그러니까 전용 팩스기를 통해 수/발송되는 팩스는 줄어들고 있는 게 맞지만 온라인 팩스에 대한 관심과 사용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2015년까지도 계속 늘어날 거라는 얘기죠. 이런 뻔한 결론보다 재밌게 보실만한 건 인구 1,000명당 팩스 사용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