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클릭하면 화면을 가득 채울 큰 이미지가 한장 있다.
전세계의 지도와 그래프가 가득한 이미지. 이 이미지는 OECD를 기준으로 상위 20개 국의 초고속 인터넷 평균 속도와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1Mbps 당 요금을 표시하고 있다.
인터넷 속도 세계 1위는...?!
그런데 우리가 알던 기준과는 조금 다른 느낌...
가장 눈에 띄는 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나라인줄 알았던 우리나라가 일본 다음이라는 것. 이는 집계 기준의 차이로 오차가 있을 수 있는 부분이지만 실제로도 일본은 우리와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는 경쟁자다.
우리나라가 초고속인터넷의 보급이 빨랐지만 일본은 우리보다 먼저 FTTH 등의 고속망을 위주로 초고속인터넷을 보급하며 속도면에서 조금 더 우위에 서게 된 것 같다. 허나 보급률 면에서는 또 다시 근소하게 우리나라가 앞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둘의 경쟁은 당분간 계속될 것 같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는 건 3위 아래 나라들과의 속도 차에서 단적으로 느낄 수 있는데 세계 최초로 인터넷 접속권을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장한 나라인 핀란드가 1, 2위와 한참 차이나는 3위. 허나 핀란드도 2015년이면 지금의 1Mbps 이상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법 기준이 100Mbp로 올라가는 만큼 우리나라나 일본을 꺽게 될지도...^^;;
인터넷 보급률 최고는...?!
속도는 일본과 우리나라가 탑을 달리고 있지만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률 측면에서 세운 줄에서는 또 순위가 다르다.
한편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의 경우 1위는 아이슬란드.
인구 30만, 면적 10만㎢에 불과한 소국인지라 그만큼 쉽게 보급률을 끌어올렸을 것 같다.
그 외에도 2위 노르웨이
(인구 460만, 면적 38만㎢)나, 3위 네덜란드
(인구 1,600만, 면적 4만㎢) 등 큰 나라보다는 작은 나라들의 활약이 역시 두드러진다.
허나 상대적으로 덩치가 큰 나라들인 미국이나, 캐나다,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등도 보급률 면에서는 꽤 높은 수치를 보여 속도나 요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전세계가 빠르게 초고속 인터넷으로 엮이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인터넷 사용료 최저는...?!
자. 그럼 마지막으로 각국의 인터넷 사용료는 어떤 순일까?
다만 이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건 전체 요금이 아니라 1Mbps 당 요금.
그런만큼 속도 x 1Mbps 당 요금을 해야 실제 사용자들이 부담하는 요금을 확인할 수 있을듯 하다.
일단 1Mbps 당 요금이 가장 저렴한 업체는 0.27달러의 일본, 그리고 2위가 0.45달러의 우리나라다. 그리고 3위는 0.63달러의 스웨덴. 하지만 인터넷 속도를 곱하면 순위는 뒤바뀐다. 일본은 16.47달러로 2위로 내려앉으며 3위였던 스웨덴에 11.34달러로 1위로 올라선다. 우리나라는 20.7달러로 3위로 쭉 밀린다.
상위권과 달리 반대로 상위 10개국 중 가장 단위 요금이 비싼 곳은 1Mbps당 13달러의 폴란드로 속도를 곱하고 나면 97.5달러로 100달러에 육박하는 높은 요금을 자랑한다.
OECD와 ITIF 등의 통계를 기준으로 했다는 초고속 인터넷 세계 비교표.
지금은 이렇게 경쟁을 펼치고 있는 나라들이 1년 후, 2년 후에는 또 어떻게 달라질까?
늘 곁에 있어서 그 빠름에 너무 익숙해져 버린 우리지만 1Mbps -> 10Mbps -> 100Mbps로 빨라져가는 인터넷의 변화는 여전히 변화무쌍한 만큼 또 다른 변화를 기대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다.
[관련링크 : Secretenemyhideout.com]
댓글 영역
FTTH 등 일본이 열심히 보급하던 광라인에 경우 우리나라도 KT를 비롯한 업체들이 깔고 있구요. 뭐 다소 차이가 있긴 하겠지만요.^^;;
정말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밖에 할말이 없습니다.
저희 집만 해도, 광랜이라고 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속도가 20Mbps 정도 밖에 안나오고,
비대칭입니다. 업은 6M정도나 나올라나요? ㅠㅠ; 안습이죠.
그리고, 기사 밑 부분의 1Mbps당 가격이 나오는데, 정확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저희 집 같은 경우 요금이 한달에 4000엔이거든요.
결코 싸지 않습니다.
흠... 제가 좀 열폭했군요. 죄송합니다.
아래 링크는 저희집 speedtest한 결과에요. 참고하세요...
http://www.speedtest.net/result/604060758.png
당연히 님은 한국인이니까 한국의 웹포탈에 접속하겠죠?
그리곤 느린 인터넷을 보고 '아놔, 일본 인터넷 왤케 꼬져'라고 생각할 겁니다.
저도 그랬으니까요. 근데 그게 따져보면 일본 잘못이 아니라 한국 잘못입니다.
한국이 인터넷이 해외 트래픽에 관련해서는 거의 막장에 가까울 정도로 부실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겁니다.
예를 들면 집안 내의 문은 엄청 크게 만들어 놓고는 대문은 개구멍인거죠.
저도 작년 겨울에 일본에서 인터넷을 써봤는데 우리나라보다 좀 느렸었어요.
고려하는 변수들이 조금씩 달라서가 아닌가해요.^^;;
가장 유력한 설은 일본의 인터넷 측정이 특정 지역에서만 행해진다입니다.
즉 신규라인(속도가 가장빠른)이 설치된 지역위주로 측정해서 저런 속도가 나온다입니다.
아마 전체 사용자 속도를 측정한다면 반이상 하락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