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748
- Total
- 42,197,693
목록지상파 DMB (9)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2014/10/08 - [와인 스마트 리뷰] 낯설지만 기대감을 품게하는 스마트 폴더폰 LG Wine Smart의 첫인상은...2014/10/15 - [와인 스마트 리뷰] 초기 설정부터 단말 활용까지의 AtoZ, LG Wine Smart 활용하기 첫 걸음... 와인 스마트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전 글부터 슬쩍 확인하신 후에 오늘의 본편 이야기 봐주세요. 생각보다 괜찮은 800만 화소 카메라와 주먹 쥐기 제스처 셀피 카메라... 키패드에 떡하니 자리잡고 있는 카카오톡 버튼 때문일까요? 카톡폰이라는 이미지가 무척 강한 LG 와인 스마트. 하지만 이 녀석을 카카오톡 머신으로만 쓰시는 건 너무 성급한 판단이 아닐까 싶은데요. 오늘은 요 녀석의 멀티미디어 차별화 포인트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제가 제일 먼저 주목..
스마트폰이라면 모두 최고를 말하고 최고를 찾고자 합니다. 그런 쪽으로 대중의 관심이 쏠리다 보니 매일 같이 쏟아지는 스마트폰을 보고 있으면 듀얼 코어니 쿼드 코어니 하면서 퍼포먼스 경쟁을 벌이고 있고 덩달아 스마트폰 구매 비용까지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이왕 사는 것 고가의 최신 모델, 최고 사양 모델에 눈길이 가는 게 인지상정이지만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면 마냥 그럴 수는 없죠. 보급형 모델이 사는 법은.... 그렇게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고 이들을 위해 나오는 게 소위 보급형이라 불리우는 제품들이고요. 헌데 이런 출신 성분 때문인지 보급형 모델에 대한 이미지는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저 가격만 낮춰 나오는 별 볼일 없는 제품일거라는 선입견이 늘 작동하기 때문이죠. 여러분도 아니 저 역시..
요즘도 출퇴근 지하철 안을 보면 DMB를 즐기는 이들이 많이 보인다. 누구 말대로 지하철에서 무가지를 읽는 사람은 줄어들고 있지만 DMB를 보는 사람들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갤럭시 S 나 아이폰 4 등의 스마트폰이 세몰이를 하는 요즘에도 말이다. 허나 아이폰 4 사용자들에게 DMB는 아니 TV는 여전히 멀기만하다. DMB 전용 하드웨어가 등장한 것 같긴 하지만 안테나 하나 더 가지고 다니기도 귀찮은 마당에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는 것부터가 사실 경쟁력을 갖기 힘든 요즘. 스마트폰에서 TV가 땡길때... 꽤 눈길을 끄는 앱이 등장했다. CJ헬로비전이 출시한 TVing(티빙)앱이 그 주인공. TV + ing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TVing은 TV 콘텐츠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서 만날 수..
다소 진부한 제목으로 시작하는 두번째 뉴초콜릿폰 리뷰... 뉴초콜릿폰이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즈음 아니 왜 저런 특이한 형태를 띄었을까에 대해 꽤 궁금했더랬다. LG전자에 앞서 21 : 9의 화면 비율을 제공하는 LCD TV가 필립스를 통해 등장하면서 대중에게 21 : 9라는 독특한 비율을 알리긴 했지만 그래도 낯설기만 한 숫자. 이후 21 : 9는 2.35 : 1이라는 좀 더 익숙한 화면 비율과 같고 이는 극장 스크린의 화면 비율이란 걸 알았다. 물론 스크린에 따라 이 비율이 조금씩 다르긴 하다지만 어쨌든 LG전자는 극장의 그 화면을 손 안에 구현하기로 마음 먹은 것이다. 다른 업체들이 그냥 내 손 안에 극장이 들어온다식의 마케팅 구호를 들이밀때 직접 그 화면 비율의 쨍한 화면을 구현하기로 맘 먹..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간 햅틱 2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아쉬운 점들에 대해 풀어낼까 한다. 만족감이 높은 모델이긴 했지만 그렇다해도 100% 만족스러울 수는 없었으니... 첫번째는 블루투스 시의 멀티태스킹 문제... 개인적으로 햅틱 2로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는 음악을 듣는 일이다. 그렇지만 주렁주렁 이어폰 선이 늘어지는 것은 싫어하는 탓에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해서 듣곤 하는데 문제는 블루투스 모드에서는 멀티태스킹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 블루투스 모드에서 멀티태스킹이 막힌지는 모르겠지만 SKT용 햅틱 2의 경우 멜론 플레이어로 음악을 듣다가 문자를 확인하는 정도가 전부인지라 이래저래 불편했다. 음악을 듣다가 지하철 노선도도 확인하고 메모장도 뒤지려면 음악을 끄고 나와야 하는 불편함이란. 두번째는 ..
지난 12월 16일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국제 표준으로 채택됐다.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만큼 향후 대한민국이라는 작은 시장을 넘어 세계로 진출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고 하겠지만 그렇다고 해도 지상파 DMB의 미래가 얼마나 밝을지에 대해 가만히 생각해보면 물음표가 계속 떠오른다. 대한민국 위기의 지상파 DMB...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상파 DMB의 국내 성적은... 글쎄. 단말의 보급은 활발했으나 돈을 벌지 못하는 영세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정답이 아닐지. 단말의 보급이라는 측면에서는 지상파 DMB 수신이 가능한 휴대전화와 PMP를 비롯한 휴대기기,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제품의 활발한 판매로 보급대수 8..
어쩌다보니 PMP 하나가 손에 들어왔기에 간단하게나마 리뷰를 작성해보기로 했다. 이번에 살짝쿵 리뷰해볼 제품은 티노스의 블루핀 중 최상위 기종인 op67N... PMP로서의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선보이고 있는 블루핀 만의 특징을 담고 있는 이 녀석을 살짝 구경해보자. 높은 가격에 비해 PC로 활용하기엔 기능의 제약이 심하고 휴대용 기기로 활용하기엔 크기가 크다는 지적을 받으며 뉴욕타임즈 선정 올해 최대의 실패작으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은 Microsoft의 UMPC. 국내에서도 UMPC는 높은 가격 때문에 뚜렷한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대신 국내에선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라 불리우는 모델군이 발군의 활약을 펼치고 있는데 적당한 사이즈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을까요. 한달 13,000원의 비용이 역시 부담이 되었을까요..^^? DMB 단말기가 100만대 이상 보급된 지금.. 위성DMB가 49만여명, 지상파DMB가 50만여명으로 1만명 정도의 차이로 지상파DMB가 위성DMB를 앞섰다고 합니다. 1. 위성DMB.. 지상파DMB.. 그 둘의 은밀한 사정.. 서비스권역도 전국이고 더 많은 채널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위성DMB TU가 밀린 이유는 역시나 가격적인 부담이 컸으리라 예상됩니다. 또 채널은 지상파DMB에 비해 많지만 막상 각 채널의 인기가 지상파DMB의 그것을 앞지르지 못하는 것도 한 원인이겠죠. 그렇지만 지상파DMB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현재의 지상파DMB는 수도권에만 서비스되고 있어 방송권역도 제한적이고 채..
최근 TV에서 가끔 보게되는 요 광고. KTF의 지상파 DMB관련 광고다. 2006년 초부터 KTF와 LGT에서 조심스럽게 서비스중인 지상파 DMB. 무료 서비스인지라 살짝 매력이 있긴 한데... 아무튼 이 광고에 담긴 작은 아이디어가 맘에 들어서 소개해본다. 아마 이 광고외에도 이런 기법을 사용하는 광고들이 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 광고의 핵심은 생방송 현장에 난입(?)한 행인이 든 지상파DMB 폰에 대한 이야기겠지만 정작 내 귀에 들어온 건 CF의 마지막에 리포터가 하는 멘트였다.. MBC의 누구 SBS의 누구 등등 각 방송국의 이름이 나온다. 더욱이 재밌는 건 해당 채널별로 멘트가 달라진다는 점! MBC에서 해당 광고가 나오면 똑같은 화면에 리포팅 멘트에만 MBC가 들어가고 SBS에서 광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