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EARLY* by 라디오키즈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모든 글 보기 (12445)
    • N* Tech (7857)
      • Device (5267)
      • IT Service (1281)
      • ECO (253)
      • Science (1044)
    • N* Culture (2646)
      • Ani/Comics (83)
      • Design (1399)
      • Game (351)
      • Hobby (95)
      • Movie (366)
      • Music (153)
      • TV (144)
    • N* Life (1303)
      • Gourmet (366)
      • Health (206)
      • Travel (292)
    • N* Kidz (625)
      • AudioLog (73)
      • Etc. (299)

검색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웹 서비스 리뷰

  • 틈새를 노리는 리뷰 블로거에게 추천...!! RevU & Daum영화

    2009.05.08 by 라디오키즈

  • 위젯으로 손님몰이... 블로그에 단 날개 헬리젯(Helizet)

    2009.04.20 by 라디오키즈

  • 15일 오전 9시, 첫 오픈캐스트(Opencast:)를 발행하다...

    2008.12.15 by 라디오키즈

  • 아직은 경험치가 부족해 보이는... 한뼘 검색 Qrobo

    2008.10.31 by 라디오키즈

  • UCC로 돈 좀 벌어볼 수 있으려나? eefoof.com

    2006.07.05 by 라디오키즈

틈새를 노리는 리뷰 블로거에게 추천...!! RevU & Daum영화

꼭꼭 숨겨두는 나만의 일기장으로 블로그를 쓰는게 아니라면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내가 쓴 글을 읽어주고 반응을 보여주길 바라고 있을터다. 그래서 블로거뉴스로 글을 송고하기도 하고 올블로그나 블로그 코리아 같은 여러 메타 블로그에 자신의 글을 보내곤 한다. 만약 해당 메타 블로그의 성향과 맞아떨어진다면 만족스런 트래픽을 보장받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걸출한 다른 글들에 밀리기 마련이다. 빛한번 못보고 글이 사라져 가는 걸 봐야 한다는 것이다. 블로거뉴스라면 연예나 시사, 사는 이야기 같은 글을 썼을때 트래픽을 얻는게 좀 더 수월할테고 올블로그라면 정치 관련 이슈나 누군가를 자극할만한 칼날을 감춘 글이면 트래픽을 얻기 쉬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정작 자신이 쓰고 싶은 이야기가 아니고 사람들을 끌어들일 글을 쓴다는..

N* Tech/IT Service 2009. 5. 8. 14:01

위젯으로 손님몰이... 블로그에 단 날개 헬리젯(Helizet)

그간 Wezet이라는 이름으로 블로그용 위젯을 서비스하던 인사이트 미디어가 얼마전 새로운 위젯형 정보 전달 플랫폼 헬리젯(Helizet)을 론칭했다. 아직은 클로즈 베타 서비스지만 위젯에 블로거들의 글이 올라간다는 점에서는 기본 기능은 갖춘 셈. 특히 헬리톡은 그들이 서비스 중인 블로그 랭킹 위젯을 통해 사용자들이 설정한 글이 특정 시간에 노출되는 간단한 방식의 서비스. 그 베이스가 되는 블로그 랭킹 위젯의 경우 하루에 150~200만 임프레션이 발생하는 베스트 위젯이라고 하는데 그 정도는 되니 이런 정보 전달형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이 보이는 것 같다. 베타 테스트 메일을 받고 헬리톡을 통해 글을 발행해봤더니 이렇게 내 글이 잘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헬리톡에 내 글을 노출시키려면...

N* Tech/IT Service 2009. 4. 20. 14:07

15일 오전 9시, 첫 오픈캐스트(Opencast:)를 발행하다...

네이버가 '인터넷 상의 유용한 정보를 캐서트의 관점으로 모아 공유하는 서비스'라고 밝힌 오픈캐스트가 베타 캐스터에 응모한 사용자들과 일부 블로거들에게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뉴스캐스트와 함께 2009년 네이버의 얼굴이 될 서비스는 어떨지 간단한 첫 만남의 이야기를 기록해 본다. 12월 15일부터 베타 테스트에 돌입한 오픈캐스트(Opencast:). 나 역시 얼마전 받아든 초대장을 통해 받은 베타키를 통해 오픈캐스트 구경에 나섰다. 개설은 초간단... 주소까지 절반은 알아서... 제목과 카테고리를 비롯해 이것저것 요구받은 사항들을 추가해 본격적으로 오픈캐스트를 개설했다. 내 오픈캐스트의 주소는 http://opencast.naver.com/RK960. RK는 라디오키즈(Radiokidz)의 앞글자에서 땄..

N* Tech/IT Service 2008. 12. 15. 09:43

아직은 경험치가 부족해 보이는... 한뼘 검색 Qrobo

오랜만에 찾은 Qrobo는 지난 6월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아직 국내에서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Qrobo는 사람의 손을 빌은 소위 휴먼 터치를 최대한 배제한 체 수많은 봇들이 에디터의 일을 대신하고 있는 검색 엔진이다. 2008/06/20 - [WIS 2008] 의미검색, 한뼘검색 Qrobo를 선보인 시맨틱스 부스... 지난 6월 WIS 2008의 시맨틱스 부스에서 만났던 심플한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첫 화면. 아직 제공하는 정보의 가짓수는 적으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정보 나열식의 펼침 화면으로 새로워졌다. 달라진 Qrobo의 얼굴...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건 첫 화면 한가운데 자리한 '화제의 집중조명'. 이슈를 전문으로 좇는 로봇에 의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운영된다는 뉴..

N* Tech/IT Service 2008. 10. 31. 13:14

UCC로 돈 좀 벌어볼 수 있으려나? eefoof.com

Web 2.0의 거센 물결 속에서 주목 받고 있는 콘텐츠가 개인이 직접 만든 콘텐츠. 소위 UCC(User Created Contents)들이다. 국내의 경우 포털과 UCC 전문 사이트를 주축으로 UCC 축적에 한참이며 해외에서는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youtube.com을 비롯하여 무려 150여개 이상의 경쟁 사이트들이 활발히 운영중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중 UCC 콘텐츠 자체로 수익을 거두고 있는 곳은 많지 않은데 대표적인 성공사례라는 youtube도 아직은 특별한 수입없이 외부의 투자 등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찾는 사람은 많고 특히 동영상을 중심으로 공유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트래픽과 서버 부담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수익은 거의 없으니 youtube 등이 동영상 광고 등..

N* Tech/IT Service 2006. 7. 5. 13:00

추가 정보

반응형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