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세상이 확장될수록 그 시장의 모습을 반영하는 여러 통계들이 나오게 마련이다.
어떤 통계는 긍정적인 신호를 또 다른 통계는 우울한 신호를 보내오곤 하는데 오늘은 부정적인 신호 몇 가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조금 된 통계도 있지만 나름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회사들이 내놓은 것이니 가볍게 혹은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봐도 좋을 듯~~
음악 다운로드 시장... 95%는 불법 다운로드!!
음원의 디지털화 이후 음악 다운로드 시장은 급성장했지만 그 반대 급부도 만만찮다.
IFPI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에 따르면 2008년 디지털 음악 다운로드 시장의 규모는 37억 달러
(5조원 정도)에 이르렀지만 그중 합법적으로 요금을 지불하고 다운로드한 건 고작 5%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꾸준한 성장을 통해 외연을 확장해가고 있는 디지털 음악 시장도 아직은 갈길이 멀다는 것을 반증하는 듯 한 지표로 보이는데 iTunes Store 등의 성공 신화에 가려진 음악 다운로드 시장의 모습은 여전히 어두운 그림자가 깊게 드리워진 것 같다.
[관련링크 : IFPI.org]
어디에 얼마나? 좀비 컴퓨터의 전세계 분포도...
이 자료는 Microsoft가 지난 2008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전세계의 컴퓨터 중 악성코드 등에 간염된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지역별로 표시한 지도다. 해당 지역의 컴퓨터 1,000대 중 몇 대나 감염되었는가를 10가지 색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전세계 평균은 1,000대 중 8.6대가 감염된 수준이라고 한다.
빨간색처럼 러시아와 브라질, 터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등이 탑을 노리는 수준의 감염국이며 특이한 건 우리나라의 감염 빈도가 예상 외로 높다는 것. 심지어 옆나라 중국보다 더 색이 빨갛고 일본의 초록색과는 너무 비교가 된다.ㅠ_ㅠ
종종 우리나라의 컴퓨터가 악성 코드에 감염된 좀비가 되어 중국발 해킹의 도구로 전락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어쨌든 자신의 PC부터 좀 더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한가지 더 우울한 건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받는 이메일의 97% 이상이 스팸 메일이란 것. 개인차는 있겠지만 이런 스팸처리에만 하루에 몇 십분을 낭비할 정도라니 이 부분도 좀 고민해봐야 할듯 하다.
[관련링크 : BBC.co.uk]
댓글 영역
어쩔 수 없는 듯 싶더라고요...
허나 그 균형을 바라기보다는 그림자가 없어지길 바라는 마음만 있는...;;(물론 불가능한)
엑티브 엑스 도배의 대한민국은 음.............
맥 OS X도 완전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아서... ㅠㅠ
그냥 최대한 조심하며 사는게죠. 늘 일말의 두려움을 가지고 조심하시면 될거에요. 홧팅~
아참.. 음악은 요즘 멜론이나 벅스 같은 곳에서 저렴하게 정액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길래 그걸로 듣고 있습니다. 물론 아이팟터치가 NON- DRM 이라서;; DRM없이 모든 곳에서 재생할 수 있는 걸로 ㅎㅎ
(라고 얘기하면서 티스토리 백업도 안하는...)
그리고 저도 최근엔 멜론 활용 중이에요.
붉게 빛나는 모습에 깜짝 놀랐어요. 중국보다 심한 수준이라니...ㅠ_ㅠ
나름 IT강국인데.. 이 명성을 유지하려면 국가적 차원의 대책들이 마련되야 할터인데.. 언제쯤 그런걸 인식하게 될까요.ㅎ
덕분에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쓸데없이(?) 켜져있는 컴퓨터도 많은 것 같고...-_-;;
일단은 국민 하나하나가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먼저 드네요.
정말 좀비컴에서 발송되고 있는 스팸메일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해킹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스팸메일 발송으로도 사용되는거 같더라구요.
디지털 음원문제도 해결이 되야할 문제이기도 하구요..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주위에선 왜 궂이 돈주고 음악을 듣냐는 반응들이 대다수더군요
상상 초월이라 잘 모르지감 겁납니다.
그래서 아내에게 항상 강조하죠. 집에서 웹 서핑 중에 뭔가 선택하게 하는 창이 뜨면 무조건 "아니오(No)"를 선택하라구요...
근데, 덕분에 아내가 인터넷 쇼핑이나 인터넷 뱅킹은 모두 저에게 일임시켜버린다는...
뉴질랜드 좀 보세요..........
저 하얗디 하얀 뉴질랜드.....
문제는 다른 부분에 있는 게 아니었네요.
문제는 바로 인터넷에 있었습니다.
네트워크가 안되면 -_- 일단 들어오기도 힘들고 퍼지기도 어렵겠죠. 인터넷도 청정지역이네요.ㅎㅎ
꼭 어떤 법규가 잘 준비되어 있는 것보다 사람들이 법을 지키려는 의지가 더 중요한 거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