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원부터 옵티머스원까지 최근의 행보를 보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올인한 듯한 LG전자지만 그들이 그 못잖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운영체제가 바로 윈도우폰 7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초기에 시장에 진입하는 5대 메이커 중 하나가 바로 LG전자이며 시장 출시도 가장 빠른 편이라는 것만 봐도 말이다.
차별화된 UI로 만나는 옵티머스 7...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폰 7을 소개한 지난 밤.
LG전자는 일련의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첫번째 윈도우폰 7인 옵티머스 7(Optimus 7)을 선보였다. 안타깝게도 올해 국내 출시 계획은 없는 제품이지만 새로운 운영체제와 단말에 쏟아지는 관심을 환기하기 위함이었을 듯한데 행사장에 도착하고 보니 비공개 간담회에 참석한 블로거들 모두 저마다 옵티머스 7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느라 분주했다.
동영상을 통해 먼저 선보이는 옵티머스 7는 전면에 SNS 등의 실시간 업데이트 사항을 표시하는 혁신전인 UI를 선보이고 있는데 라이브 타일(Live Tile) 혹은 메트로 UI(Metro UI)라고 불리우는 새 UI는 현재 주류라고 할 수있는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계열과는 확실히 차별화된 모습과 사용성을 제공하고 있었다.
사실 안드로이드의 경우 아이폰과 대동소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UI에서 비슷한 면이 없지 않았지만 윈도우폰 7이 전하는 느낌은 확실히 달랐던 것. 아니 단순히 다른 정도가 아니라 그 화려함이나 경쾌함이 앞선 경쟁자들과는 확실히 다른 느낌이고 또 긍정적인 느낌이었다. 처음 아이폰에서 멀티 터치를 경험했을때의 새로움을 다시금 느꼈다고 할까.
퍼포먼스 우수, 스타일 우수~ 개인적으로 새 UI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마이크로소프트와 LG전자가 내민 카드...
준(Zune)과 엑스박스 라이브(XBOX Live), 오피스(Office) 등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강조한 윈도우폰 7의 주요 기능 외에도 옵티머스 7은 LG전자가 최적화한 기능들이 담겨 있다. 이를테면 안드로이드에서 부터 익숙해진 AR 서비스 '스캔서치'나 사진 촬영 시 좀 더 편리한 사진 촬영을 가능케할 '인텔리전트샷' 등를 담아낸 것이다.
이 외에도 각종 소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피플 허브(People Hub)나 DLNA를 통해 타 기기와 연동하는 플레이 투(Play To) 등의 여러 기능을 선보였는데 짧은 시간이었던 만큼 윈도우폰 7, 그리고 옵티머스 7의 모든 것을 경험하진 못했지만 천하삼분지계를 노리는 마이크로소프트만의 특징은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특징보다 더 크게 다가온 윈도우폰 7의 매력은 화려한 스타일과 빠른 반응성이었다. 큼직하고 시원스런 타일들이 보여주는 움직임 등 눈에 보이고 손에 느껴지는게 역시 최고라는 얘기. 혹자는 지나치게 화려한 UI라는 이야기도 하고 있지만 글쎄~ 이 정도면 꽤 오랜동안 사랑해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안타까운 혹은 아쉬운 몇가지...
잠깐 써본거라서 큰 문제를 찾진 못했지만 아쉬워 보이는 건 일부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테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리스트로 표시되는 탓에 설치 숫자가 늘어날수록 스크롤의 압박이 예상된다는 UI적인 문제부터 또 아이폰이 그랬듯 보안 등의 이유로 윈도우폰 7은 추가 메모리 확장이 불가능한 구조라는 등의 문제 말이다.
하지만 스크롤의 압박은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을 초기화면에 별도로 옮겨두면 되고 16GB의 적지 않은 내장 메모리에 스카이드라이브등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니 내장 메모리의 부족에 시달릴 것 같지는 않았다.
오히려 국내 출시가 아직 요원하다는 점이 가장 아쉬웠다.
차별화된 UI와 사용성에 대한 기대는 컸는데 올해에는 유럽이나 북미 등 해외 시장에서만 출시되고 국내는 내년에나 들어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니 말이다.
국내 출시, 관건은 준 지원 여부...
특히 이번에 안 사실인데 윈도우폰 7의 출시 기준은 한글화 등이 아니라 준의 국내 서비스 여부라고 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만 윈도우폰 7을 출시를 허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윈도우폰 7과 준은 아이폰과 아이튠즈의 관계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지만 당장 국내에서 준이 서비스 되지 않는 만큼 준이 언제 들어오냐에 따라 국내 출시 일정 역시 조정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튠즈가 그랬듯 이통사와 마이크로소프트, 제조사간 협의만 잘된다면 준의 국내 서비스를 당길수도 있겠지만 누가 나서줄지.
아무튼 현재 6개 언어만 지원하는 윈도우폰 7에 한글 버전이 등장하는 건 내년으로 보여 당분간은 마냥 출시를 기다리는 수 밖에 없어 보이지만 거꾸로 초기 모델보다 더 안정된 후속 모델이자 더 나은 폼팩터와 성능을 담은 녀석이 될거라는 기대를 품는건 가능하리라.
경쟁자들 모두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약한 하드웨어 규격 안에서 경쟁하는 상황.
LG전자 개발자는 전력 소모의 최소화 측면에서도 공을 들였기에 경쟁 모델에 비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는데 LG전자 외에 4대 메이커가 각축을 벌일 초기 윈도우폰 7 경쟁에서 어떤 업체가 먼저 웃게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ㅠ_ㅠ 그건 그렇고 잠시 만져보니 더 쓰고 싶어졌다. 매력적인 녀석 같으니라구~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