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디자이어 HD 국내 출시, KT를 향한 HTC의 선택은 옳은걸까?

N* Tech/Devi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10. 10. 7. 14:09

본문

반응형
HTC가 얼마전 발표한 신모델 디자이어 HD(Desire HD)의 국내 출시 계획을 밝혔다.
4.3인치(800 x 480)의 시원하다 못해 거대한 터치 스크린과 1GHz 스냅드래곤 프로세서, 1.5GB의 내장 메모리 등을 그릇 삼아서 안드로이드 2.2와 업그레이드된 Sense UI를 얹은 전략 모델 디자이어 HD는 부팅 시간을 단축시키는 신기술 패스트 부트와 DLNA 등으로 한층 날을 세운 모델.



널직한 화면 때문에 다소 큰게 아니냐는 시선도 없는 건 아니지만 워낙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일가를 이룬 HTC의 제품인만큼 공식적인 출시 소식이 전해지기 전부터 국내 출시에 대한 소문과 기대가 따라 다녔다. 하지만 공개된 내용은 기대와는 다른 것이었으니...


새로운 파트너 KT를 선택한 HTC...


제일 먼저 놀란 건 디자이어 HD를 출시하는 이통사가 SKT가 아닌 KT였다는 사실.
KT 단독 출시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간 SKT의 하반기 출시 모델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던 녀석이 갑자기 통신사를 바꿔 출시한다는데 적잖이 놀랐다.


그도 그럴게 HTC와 SKT의 인연이 한두해 된게 아니기 때문인데...
다이아몬드, 터치 듀얼, 디자이어, HD2 등 SKT를 통해 출시된 HTC의 단말은 제법 많았다. 하지만 문제는 성과. 그간 SKT를 통해 국내에 들어온 HTC의 모델들이 낸 성과가 그리 괄목할만한 수준이 안됐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통계까지 확인해보진 못했지만 극히 주관적인 대중교통 모니터링(버스나 지하철에서 사람들 손에 들린 모델을 확인) 기억을 더듬으면 HTC의 단말을 시장에서 만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

국내에 스마트폰 바람이 분 이후에 출시된 디자이어나 HD2도 비슷한 상황인걸 감안하면 실상 SKT를 통해 시장에 팔린 제품의 숫자가 그렇게 많지는 않았던 것 같다. HTC가 새로운 전략 단말을 출시 파트너를 KT로 선택한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니었을까? 규모에 비해 그다지 잘 팔리지 않는 SKT와 계속 파트너십을 가지고 가기보다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 것.


강력한 SS 조합에 대한 반발...?!


실제로 KT는 HTC가 제조하고 구글폰으로 팔리는 넥서스원을 유통하는가 하면 보급형인 레전드도 유통하는 등 HTC의 단말에 욕심을 내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HTC가 KT로 차세대 모델의 출시를 결정했다는 건 SKT에 대한 실망에서 비롯된 이번에는 KT를 믿고 움직여 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아니었을까?

스마트폰 시장을 리드하며 이통 시장을 재편하겠다는 KT의 전략이 오직 스마트폰만 만드는 HTC로 하여금 SKT가 아닌 KT를 택하게 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또 개인적으로는 SKT와 삼성전자 사이에 구축된 단단한 SS 조합에 대한 반발도 HTC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다.


잘 알려진 것처럼 SS라 불리우는 SKT와 삼성전자의 단단한 협업은 유명하다.
어느새 100만대를 훌쩍 넘게 판매한 갤럭시 S만 해도 KT나 LGT로 출시된 제품과 SKT용 모델은 성능과 사양에서 차별을 보였는데 SKT는 늘 갤럭시 S는 개발 초기부터 삼성전자와 SKT가 함께 만든 제품이라서 경쟁사와 차이가 생겼다는 점을 강조했었다. 거기에 양사의 강력한 마케팅까지 더해지며 갤럭시 S는 출시 후에 승승장구했고 갤럭시 탭 등 새로운 단말 출시에 대해서도 양사는 긴밀한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아무리 넓은 SKT의 그늘 아래에서라도 상대적으로 빛을 받지 못하는 제조사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HTC 역시 그런 상황이 아니었을까하는 추측도 가능해지는 상황.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추측이긴 하지만 그렇게 단단한 결속으로 맺어진 SS 조합에 배척당하고 있는 KT와 HTC가 함께 시장 재편에 힘을 모은다 뭔가 그럴듯한 시나리오가 그려지는 느낌이다.


아이폰 다음 먹거리, HTC...


허나 KT라는 파트너를 찾아나선 HTC의 미래가 그리 밝아만 보이지는 않는다.
대한민국에 스마트폰 바람을 일으켰다지만 실상 애플의 아이폰에 기댄 KT이고보니 'KT = 아이폰'이라는 시장의 인식이 또 HTC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SS가 싫어 떠났더니 KA와 부딪친다면 여전히 HTC의 행보는 고난의 연속이지 않겠는가.


그나마 기대되는 건 아이폰에 올인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KT의 입장상 스마트폰 단말 다양화에 힘을 쏟고 있는만큼 SKT 시절보다는 HTC가 가지는 운신의 폭이 넓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부분. 이미 넥서스원, 레전드 등 HTC의 안드로이드폰으로 아이폰에 이은 스마트폰 틀짜기에 나선 KT의 내부 상황이 HTC로서는 매력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KT 역시 SKT와 함께하고 있는 많은 파트너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았던 스마트폰 라인업 확보에 HTC는 충분히 의미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되는 디자이어 HD 같은 붐업용 아이템이 절실한 KT가 아니던가. 다만 HTC가 아직 국내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A/S 등의 문제로 대중의 구매를 불러일으키지 못한다는 상황을 빨리 개선해야 HTC 스스로 지목한 강력한 경쟁자 삼성전자와 맞서 국내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또 하나의 탐나는 아이템 출시라는 점에 먼저 눈길이 가는게 사실이지만 HTC를 사이에 두고 SKT와 KT가 벌일 앞으로의 불꽃 경쟁이 어떤 모습으로 결판날지 지켜봐야 겠다.
HTC 과연 이번엔 웃을 수 있을까? 난 언제쯤 디자이어 HD를 써볼 수 있을까.-_-;;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