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K텔레콤 BLE 페이먼트/전자카드... 모바일에서 쌓은 기술을 더 편리한 오프라인 결제 시장으로...

N* Tech/Devi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14. 11. 12. 22:00

본문

반응형

카톡 친구끼리 쉽게 돈을 송금할 수 있는 뱅크월렛 카카오가 오늘 출시됐죠.
일단 기존에 사용하던 신한은행 계좌를 연결만 해둔 상태인데요. 스마트폰 인증, 계좌 번호 입력 등의 과정을 거쳐 생각보다 쉽게 계좌 등록이 되더군요. 본격적인 사용은 조금 나중에 해보기로 하고...


오프라인를 장악하는 모바일 페이먼트의 강자가 될까? SKT BLE 페이먼트...


아무튼 이렇게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결제에 관한 새로운 물결이 일어나는 즈음, 이통사 역시 모바일 페이먼트 시장 확대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요. SK텔레콤이 준비하고 있는 건 BLE 페이먼트 시스템이더군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요 서비스는 저전력의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해 기존의 결제 방식보다 더 편리하게 비밀번호 입력 만으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하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매장의 POS 기기 근처로 가져간 후 사용 금액을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결제가 완료된다고 하더군요. 특히 새로운 결제 시스템이 도입되려고 할때마다 발목을 잡고 있는 POS 기기의 교체 문제도 USB 동글을 POS 등에 꽂는 것으로 해결하려고 한다고 하고요.

또 BLE 기반의 BLE 전자카드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는데...
요 녀석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한 BLE 페이먼트와 함께 기존의 플라스틱 카드 형태에 여러 장의 카드 정보를 하나의 전자카드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거라고 합니다. 어디선가 본 듯한 데자뷰를 느끼셨다면 맞습니다. 사실 비슷한 콘셉트의 제품이 이미 여러번 시도됐었고 해외에서도 최근 빠르게 각광받는 서비스들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보수적인 결제 시장의 특성에다(사실은 POS 등의 교체 비용 같은 비용 이슈가 컸지만) 끈질기게 살아남으며 국내 ICT 산업 전반에 어두운 그림자를 지우고 있는 공인인증서를 필두로 시장의 성장보다 규제로 업계를 통제하려는 정부의 정책이 바뀌지 않는다면 이 모든 서비스가 잘 자리를 잡아갈 수 있을지 물음표를 달게 되네요.



뱅크월렛 카카오나 카카오 페이부터 SK텔레콤의 BLE 페이먼트, BLE 전자카드 등이 성공하려면 단순히 한 두 기업의 움직임이 아니라 시장 전반을 흔들어대는 정부의 정책 등이 발을 맞춰야 하는지라, 그 부분이 꼭 함께 되길 바라봅니다. 암튼 내년에는 SK텔레콤의 BLE 페이먼트와 맞물려 시럽 등의 서비스가 더 힘을 받겠네요~


이통사의 오프라인 결제 시장 진출 프로젝트,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관련링크 : Sktelecom.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