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TV 체험단 그 두번째 이야기.
이번에는 최근 두 업체간의 기술 논쟁으로 뜨거운 3D 기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양측의 감정 싸움으로까지 번졌던 기술 논쟁을 새삼 언급할 생각은 없지만 첨예한 기술 논쟁이라는 게 특히 대중에게 익숙지 않은 기술일 경우 제품 구입에 혼란만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경우도 사실 그렇지 않나 해서 걱정되는 바가 없지 않지만 부디 경쟁을 통해 더 나은 결과가 나오길 바랄 뿐이다.
시작은 3D 전용 안경부터...
삼성전자는 셔터 글래스 방식의 3D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비단 삼성전자 뿐 아니라 필립스나 소니 등 하이엔드 3D TV가 두루 적용한 이 기술은 TV와 연결된 3D 전용 안경이 초당 수백번 움직이면서 머릿속에 평면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인식시키는 기술이다.
그렇다보니 전용 안경의 존재는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데 일단 삼성 스마트TV의 경우 그 디자인이 먼저 맘을 사로잡았다.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에 안경테 부분의 효율적인 설계로 3D 안경의 부담감을 최소화했다.
참고로 현재 3D 전용 안경을 50% 할인해서 판매하고 있다니 좀 더 많은 안경이 필요하다면 참고하시길~
또 안경을 쓰는 사람을 위해 3D 전용 안경에 달린 코받침을 뗄수 있도록 설계한 점도 재밌는 발상의 전환이었다. 난 따로 안경을 쓰지 않아서 그런 불편함을 경험하지 못하지만 주변에서 얘기를 들어보면 안경 위에 안경을 쓰는 걸 많이 불편해 하던데 조금이나마 그 불편함이 덜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본격적인 3D 속으로...
자. 그럼 3D 전용 안경을 한번 써보자.
3D 전용 안경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TV와 연결되기 때문에 TV와 연결되면 화면 아래에 TV와 연결됐다는 문구가 짤막하게 표시된다.
먼저 살펴볼건
2D → 3D 컨버전에 대한 부분이다.
아직 3D 전용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에 우리가 늘 보는 2D 영상을 3D로 변환하는 컨버전은 생각보다 자주 사용될 기술이기 때문이다.
사용 방법도 무척 간단해서 일반적인 TV를 시청하다가 리모콘의 3D 버튼만 누르면 바로 2D → 3D 컨버전 상태로 전환된다. 그때 안경만 쓰면 3D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문제는 영상의 상태나 특징에 따라 3D 효과가 다르다는 건데...
이를테면 3D 애니메이션은 높은 입체감을 보이지만 2D 애니메이션은 그 효과가 반감된다는 얘기다. 허나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메뉴 화면에서 입체감을 높이면 그에 따라 더 높은 3D 입체감이 느껴진다. 혹 3D 효과가 별로라고 생각된다면 입체감을 직접 손봐서 극대화해 보시길.
3D 콘텐츠는 3D Explore에서...
요즘엔 케이블TV나 스카이라이프 등에서도 3D 콘텐츠를 조금씩 늘려가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함이 느껴진다. 3D 기능은 있으돼 이용할 콘텐츠가 없는 슬픈 상황이랄까. 어쩌면 그런 상황이 제조사인 삼성전자가 직접 3D 콘텐츠를 공급하게 만든 것 같은데...
삼성 스마트TV를 쓰고 있다면 스마트 허브 속에서
3D Explore라는 메뉴를 봤을 것이다.
바로 이 3D Explore가 삼성전자가 직접 공급하는 3D 콘텐츠들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사용자는 이곳에서 영화, 뮤직비디오, 다큐멘터리, 아동 교육 콘텐츠까지 다양한 3D 전용 콘텐츠를 만날 수 있다.
아직 영화의 경우 예고편만 서비스되고 있지만 올해안에 70여편의 3D 콘텐츠가 추가될 예정이라니 3D 콘텐츠에 대한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은 소녀시대로 참아달란 이야기
(?). 참고로 이 녀석들은 2D와 3D로 모두 다 볼 수 있다.
3D 품질은 기대 이상...
이렇게 3D 전용 안경, 3D 콘텐츠가 갖추어졌으니 본격적인 3D 화질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앞서 언급한 것처럼 2D를 3D로 전환하는 2D → 3D 컨버전의 경우 입체감이 콘텐츠마다 다르지만 3D Explore에서 만나는 콘텐츠들은 좀 더 나은 입체감을 보여준다.
굳이 설명할 필요없이 이 녀석들은 애초에 3D로 만들어진 녀석들이니 많이다.-_-;;
삼성전자는 자사의 3D 기술을 풀HD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맨처음 얘기했던 경쟁사와의 기술논쟁에서도 이 부분을 특히 강조하고 있는데...
실제로도 3D로 넘어가도 평소의 풀HD 그대로 3D 영상을 즐길 수 있었다.
또 색감이나 화면 품질에도 지적할 만한 부분은 없었다. 셔터 글래스 방식의 특성상 3D시에 화면이 어두워 보이는 면이 있지만 이는 본연의 특성인데다 심하게 거슬리는 수준은 아니다.
오히려 마음 쓰이는 건 긴시간 동안 3D로 볼 경우 눈이 피로하거나 멀미 등의 증상이 나오지 않느냐 하는 거였는데 1시간 가까이 연속 시청을 해봐도 내 경우엔 큰 문제는 없었다. 개인적인 차이가 있는 부분이라서 확언하긴 어렵지만 셔터 글라스 방식의 문제점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부담감을 덜어낸 3D 전용 안경, 풀HD로 펼쳐지는 깔끔한 3D 화질, 꾸준히 늘어날 3D 콘텐츠 까지 삼성 스마트TV의 3D 기능을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하면 꾸준히 나아지고 있는 부분이긴 하지만 스마트TV에서 3D는 부가적인 기능 하나에 불과하니 선택시 이런 부분까지 잘 고려하시길~^^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