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클럽박스 마일리지 20% 더 얻는 방법...!!

N* Tech/IT Servi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06. 8. 31. 19:28

본문

반응형
다분히...-_- 낚시성 제목을 단 것 부터 사과하고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하지만 위 제목이 100% 낚시는 아니다.


위의 이미지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클럽박스와 PD박스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20%씩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그래봐야 시간당 10에서 12포인트로 늘었지만...)

바로 '스페셜 마일리지'라는 이름으로 추가 마일리지를 지급하겠다는 내용인데 좀 더 내용을 살펴보면 다른 무엇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페셜 마일리지는 파일 전송관리자가 실행되는 동안 PC자원의 일부를 사용하게 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PC자원을 그리드 컴퓨팅의 자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동의를 구하고 있다.


그리드 컴퓨팅...?

네이버 백과사전 왈... 그리드 컴퓨팅의 정의는 이렇다.

전력을 공급하는 진공관의 전극(grid)과 유사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지리적으로 분산된 고성능 컴퓨터, 대용량 저장장치, 첨단장비 등의 자원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해 상호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를 말한다.

일종의 가상 컴퓨터로, 일정 시간 동안 어느 컴퓨터의 자원이 남아 도는지를 측정해 어느 한 작업에 집중시켜 컴퓨터 사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주기 때문에 작업 속도를 무한정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각각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공유하는 서비스이다.

사실 이미 P2P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를 이용해왔던 클럽박스였기 때문에 그다지 새삼스러울 것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클럽박스의 입장에서는 진일보한 기술을 적용한 것임에 분명하다.


기존과의 차이점


기존의 클럽박스의 경우 클럽박스 매니저로 다운로드 받고 있는 파일이나 받아 놓은 파일의 목록을 기록해뒀다가  클럽박스의 다른 사용자가 해당 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내가 받아놓은 파일을 그 사용자에게 업로드하게 된다. 말그대로 P2P의 한쪽을 내 컴퓨터가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서비스 개편으로 그런 P2P 방식 외에 내 컴퓨터의 일정 자원을 더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정확히 어떤 알고리즘을 통해 클럽박스만의 그리드 컴퓨팅을 구성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것을 파악하지 못했지만 일단 기존 보다 한개의 프로세스가 더 돌아가고 있다.


실제적인 그리드 컴퓨팅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는 grdmgr.exe 인듯 하다.
단순히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 등을 보면 크게 부담스러운 정도는 아니니 마일리지 포인트가 필요하다면 사용하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또한 이전에 몇가지 서비스(싸이월드 배경음악) 등이 사용자에게 상세한 공지없이 그리드컴퓨팅을 적용하면서 사용자의 반발을 산 경험이 있었는데 그런 과거의 전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인지 동의 절차도 거치고 언제든 그리드 컴퓨팅 상태에서 기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배려해둔 상태다.


유명 그리드 컴퓨팅 서비스...

사실 그리드 컴퓨팅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이미 그리드 컴퓨팅을 통해 수많은 사용자들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해 커다란 컴퓨팅 파워를 끌어내기도 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그리드 컴퓨팅 두 가지를 살짝 소개해보고자 한다.

1. ET를 찾아서... SETI@HOME

SETI@HOME 프로젝트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전세계의 컴퓨터를 이용해 외계 생명체를 탐색하는 범세계적인 프로젝트다. 이미 1960년부터 시작된 대단위 프로젝트로 물론 초반에는 지금과 같은 그리드 컴퓨팅은 아니었다. 또한 초기에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으나 지난 93년 정부의 지원이 줄어들면서 현재는 대부분 민간의 참여와 그리드 컴퓨팅을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2. 한국의 과학발전을 위해... Korea@Home


Korea@Home은 Seti가 그렇듯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해서 등록된 사용자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해 대단위 과학 실험등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반도기후예측'이나 '신약후보물질탐색' 등의 작업을 수행중이다. 일반 사용자들의 컴퓨터 파워를 모아서 슈퍼 컴퓨터 이상의 성능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이미 수많은 국내 회원들이 참여중이다.

이처럼 초기의 그리드 컴퓨팅은 과학 실험이나 군사 활용을 목적으로 정부 주도로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는 P2P가 그러하듯 점점 일반 사용자에게 다가오고 있다. 특정 단체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그리드 컴퓨팅에 참여하는 순수한 목적이든 클럽박스나 싸이월드처럼 특정한 이익을 위해 자신의 컴퓨터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든 그리드 컴퓨팅은 성큼 성큼 그 세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한마디로 그리드 컴퓨팅도 사용자의 참여를 통한 Web2.0 모델인 것...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