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승리호... 한국 최초의 우주 영화라는 우려를 시원하게 날리다! 넷플릭스에서 확인된 한국 SF 영화의 가능성...

N* Culture/Movi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21. 2. 8. 06:00

본문

반응형

송중기(태호), 김태리(장선장), 진선규(타이거 박), 유해진(업동이) 주연, 조성회 감독 연출의 승리호(SPACE SWEEPERS)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결국 극장에 걸리지 못하고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누군가에겐 기대작이었을 거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SF라는 벽을 넘지 못한 한국 영화가 이번에서 실패할 거라는 우려를 샀을 영화 승리호. 저도 과연 어떤 성과를 냈을지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승리호와 만났는데요. 영화는 전형적인 한국 영화의 틀에 SF의 다양한 장치를 꽤 흥미롭게 버무린 잘 뽑아낸 준수한 작품이더라고요.@_@/

 

넷플릭스가 날개를 달아줬으면... 한국 최초 우주 영화의 성공적인 시작, 승리호...

 

 

- 스포일의 가능성이 있는 얘기들이 나올 수 있으니 아직 승리호를 보지 않으셨다면 주의하세요. -


2092년 지구는 식물과 숲을 잃고 사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지구에 위기가 닥치면서 우주 개발 기업 UTS는 지구 위의 위성 궤도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들어 소수의 인류를 이주시키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데요. 인류가 우주에 진출하면서 더 많아진 우주 쓰레기를 치우며 근근이 살아가는 청소부 승리호 선원들 앞에 테러리스트에게 탈취당한 안드로이드 도로시가 나타나면서 암울한 지구 위 어두운 우주 속에서 모험이 시작됩니다.

 

네. 이 영화는 우주 청소부들 앞에 나타난 꼬마 안드로이드와 그 안드로이드를 놓고 2개 이상의 세력이 힘을 겨루는 이야기가 될 거라는 게 이 초반 시놉시스 안에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우주 청소부와 안드로이드가 어느 쪽에 서느냐에 따라서 이 이야기의 판도가 달라질 거란 것도 우린 잘 알고 있죠. 그리고 지구에서 사는 사람들과 위성 궤도에서 사는 사람들 간의 계층 차이가 구축할 갈등 역시 만만찮을 거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더군요.

 

 

 

영화는 그렇게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는 최하층 사람들에게 떨어진 안드로이드로 인해 갈등하는 주인공들의 화해와 공조로 사건을 해결하기 까지를 그려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 SF 영화라는 어딘지 오리지널리티 풍기는 키워드와 달리 영화는 어디서 본듯한 익숙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아마 이 영화를 보다가 다른 SF 영화의 한구석을 떠올리시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그 영화들과의 결정적인 차이는 역시 이 영화가 한국적인 메시지를 듬뿍 담고 있다는 거죠. 혹자는 신파라고 부를 요소도 한국 영화답게 조금은 깔려 있고요.

 

하지만, 제법 영민하게 신파를 틀에 박힌 신파로 풀어내지 않는 게 이 영화의 매력입니다. 익숙한 SF 이야기를 한국형 SF라는 새로운 틀에 담아내면서 한국적인 메시지와 사건들을 배치하고 루즈하지 않게 경쾌하게 풀어내는 이야기는 종종 판타지로 흐르지만, 뭐 어떤가요. 이 영화가 우주 배경의 다큐멘터리도 아니고 살짝 틀어진 개연성 안에서도 나름의 반전 요소들을 더해 흥미로운 얘기를 풀어낼 수 있고 그걸 보는 사람들이 좋아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오락 영화로서의 본질은 지킨 걸 텐데요.

 


영화를 끌어가는 배우들의 호연과 캐미가 이런 재미를 배가시키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제대로 시민 대접도 못 받으면서 먹고사니즘 때문에 일하다보니 작은 돈을 갖고도 투닥거리기 일상이고 소소한 반목으로 흔들리던 승리호 크루들. 그들 앞에 도로시가 나타난 후 각각 조금씩 다른 목표를 향해 표면적으로 힘을 합쳤던 초반과 달리 그간 함께 해온 신뢰를 바탕으로 기꺼이 희생하며 하나의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그들이 보여주는 화합은 지극히 한국적인 것이더군요.

 


이쯤에서 이 영화의 제작비 240억 원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야 할 것 같습니다. 극장에 걸리는 한국 영화 기준으로 240억 원은 적은 액수가 아닐지 모르겠지만, 할리우드 SF 영화를 생각하면 240억 원은 참으로 적은 비용입니다. 그 비용으로 완성한 승리호는 비교적 준수한 때깔을 보여줍니다. 2092년이라는 어정쩡한 시대 배경을 만들어 궤도 엘리베이터와 위성 도시 등이 존재함과 동시에 스패너로 뚝딱뚝딱 우주선을 고쳐나가는 모습을 보여준 것도 어쩌면 그 제작비와 관련된 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암튼 예산 대비 전체적인 CG 퀄도 나쁘지 않게 느껴졌고요.

 


예산 얘기는 출연진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지는데요. 예산이 충분했다면 다국적 배우들이 총출동해야 하는 영화를 더 충실히 구성할 수 있었을 텐데 주요 배역인 제임스 설리반을 맡은 리차드 아미티지(Richard Armitage)를 제외하곤 넷플릭스를 통해 승리호를 처음 만날 외국인들에겐 대부분 낯선 배우들일 거라는 게 살짝 아쉽더군요. 대신 일요일 아침 꼭 서프라이즈를 챙겨보는 저 같은 사람에겐 더없이 친숙한 배우들이 잔뜩 나온 덕분에 그들의 연기도 만족스럽게(?) 볼 수 있었는데요. 처음부터 넷플릭스로 유통할 걸 생각했다면 좀 달라졌을지 모르지만, 국내 극장 개봉용이었고 한정된 예산 안에서 다국적 배우들의 활용은 약점 만은 아니었길 바랄 뿐입니다.

결과적으로 최초의 우주 배경 한국 SF 영화라는 타이틀을 달기에 승리호는 부족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아니 개인적으로는 기대 이상이었다고 말하고 싶네요. 살짝 살짝 개연성이 흐트러지는 경우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익숙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내면서 한국 SF 영화가 이만큼 흥미로운 우주를 그려낼 수 있다는 실력을 제대로 보여줬다고 생각하거든요. 거기에 이미 각국 넷플릭스 영화 시청 순위에서 1위에 오르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으니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이후의 행보가 더 기대되느데요. 기생충, 미나리 등 한국 영화가 K- 타이틀을 달고 세계인을 찾아가고 있는 지금. 더 넉넉한 예산이 있었다면 상상력의 크기도 더 크게 담아냈을 수 있었을 텐데라는 아쉬움은 있지만, 승리호가 보여준 성과 덕분에 한국 영화의 무대를 우주로 확대하는데 더 이상 주저하지 않을 거라는 것만으로도 큰 성과를 거둔 게 아닌가 싶네요.^^


 

승리호 | Netflix 공식 사이트

우주에서 쓰레기를 주우며 산다. 꿈은 아득하기만 하다. 2092년, 기댈 곳 없는 낙오자 넷. 그들이 천진한 인간형 로봇을 손에 넣는다. 때가 왔다, 위험한 거래를 개시한다!

www.netflix.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