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748
- Total
- 42,197,693
목록UCC (17)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세월호 참사의 여운이 다 가시지 않은 탓에 깊은 애도를 전하며... 지난 20년 이상 햅틱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시장을 선도 중인 기업 이머전(Immersion)의 블로거 간담회는 그렇게 시작됐습니다. 오래전부터 준비한 행사였던지라 일정을 미루기 힘들었다고 하더군요. 진동으로 마무리되는 피드백을 사용자들에게 더 잘 전달하도록...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전달하는 걸 흔히 햅틱(Haptic)이라고 하죠. 삼성전자가 피처폰 시절부터 햅틱 개념을 적용한 단말을 출시하면서 제법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기술로 자리매김하기도 했고요. 이머전은 그런 햅틱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기업으로 특히 상황에 맞는 진동 효과로 사용자가 적절한 반응을 경험하게 하는데 주력하고 있는데요. 우리..
스마트폰 알람에 눈을 뜨고 그 날의 날씨를 확인합니다. 아침을 먹으면서 뉴스와 재밌는 얘기를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확인하고 출근길에는 스마트폰이 네비게이션 역할까지 하죠. 스마트폰과 함께하는 우리의 일상을 담은 이 영상은 뒷부분에 반전을 보여주는데요. 세계 최고 규모의 항공사로 꼽히는 네덜란드의 KLM이 UCC 공모전을 통해 제작했다는 이 동영상은 그런 메시지를 은유적인 메시지로 전달하고 있는데요. 스마트폰의 안내에 따른다고 누구나 하늘을 날 수는 없겠지만...^^ 스마트폰앱을 이용하면 해외 여행을 좀 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달까요? 동영상을 따라해도 날아갈 수는 없겠지만 KLM앱을 쓴다면... 대부분의 항공사앱들이 그러하듯 KLM의 앱도 항공권 예약부터 체크인, 나의 마일리지 및 예약 사항 확인..
니콘이 자사의 DSLR인 D5000을 북미에서 홍보하면서 온라인 동영상 페스티벌을 열었었다. Your Day라는 이름이 붙은 이번 페스티벌에는 재미난 조건이 하나 있다. 140자의 이야기로 세상의 정보를 실어나르고 사람 사이의 거리 좁히기에 열심히인 트위터에서 영감을 얻은듯 140초 이하의 동영상을 제출해야 한다는 단서가 붙어 있었다. 개인의 아이디어와 생각을 담는데 140초면 충분하다는 전제가 깔려 있었던 듯. 140초의 제한이 있었지만 결과는 나쁘지 않았다. 1등 상금 10만 달러를 놓고 벌인 여러가지 동영상들이 저마다의 이야기로 경쟁했고 우승을 차지한 작품은 닭 vs 펭귄(Chicken vs Penguin)으로 힘든 알바 속에 꽃피는 청소년들의 따뜻함이 담겨 있는 영상이었다. 한편 인기상을 받으며 ..
자달... 오랜 자취 생활로 노하우가 충만한 '자취의 달인'을 시대 감각에 맞게 표현한 말로 현재 tv팟에 업로드되고 있는 UCC 시리즈 영상의 주인공 이기도 하다. tv팟에 업로드되고 있는 이 영상들은 '자취전(自吹傳)'이란 이름으로 서비스 중이며 현재 6편까지 업데이트 됐다. 자취전은 현대를 살아가는 배고프고 돈 없는 자취생들이나 과거 자취생 시절을 추억하는 사회인들에게 그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며 웃음짓게 하는 유쾌한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_- 앞선 설명은 다소 딱딱했지만 일단 한편이라도 보고나면 감이 딱 올 그런 작품... 이미 수만회의 재생수와 영상당 100여개에 이르는 폭발적인 댓글을 이끌어낸 검증된 작품이니 일단 아래 영상들을 살펴 보시길... 자달의 포스와 제자의 발연기에 어느새 매료된..
우연찮은 기회에 사용해 보게된 Sony의 초소형 핸디캠 HDR-TG1. HDR-TG1은 Sony가 주로 선보인 HDD 내장형과 차별화된 디자인의 모델로 흡사 Sanyo의 Xacti가 연상되는 모델이다. 400만 화소에 1920x1080i의 FullHD 녹화를 지원하며 돌비디지털 5.1 레코딩, 손떨림 보정, 안면 인식 등 오밀조밀 다양한 기능을 몰아넣은 느낌으로 초박형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예사롭지 않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자. 그러면 초소형 FullHD 모델로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는 HDR-TG1을 좀 더 살펴보기로 하자. HDR-TG1 외형 살피기... 온몸을 티타늄으로 휘감고 있는데다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 하드코팅까지 한 바디를 갖고 있는 덕분에 매끄러운 질감과 편안한 느낌을 준다. 렌즈는 Ca..
최근의 인터넷 트랜드는 자의반 타의반 동영상 UCC가 아닐까? 이슈를 생산해내고 소비되기에 적당한 형태의 포맷이면서 빨라진 인터넷 환경에 맞아떨어졌기에 엄청난 파급력으로 인터넷을 물들이고 있다. UCC... 동영상만 있는 것 아니다 그렇게 세상은 동영상 UCC로 물들어가지만 UCC의 주인공이 동영상만은 아닐 터... 인터넷 초창기부터 웹을 점령했던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사운드도 나름의 영역을 가지고 꾸준히 새로운 콘텐트로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있다. 이 블로그에 있는 AudioLog도 마찬가지다. 글이나 이미지만으론 전달할 수 없는 느낌, 동영상과는 또 다른 느낌을 전하고 싶어서 시작한 형태면으로는 사운드에 치중한 소리 매체다. 해외에선 팟캐스트가 폭발적인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조금은 사적인 형..
HD와 P2P를 동영상 공유에 적용한다면 어떤 모델이 될 것인가? 그런 물음에 답해줄 서비스가 고화질과 빠른 전송 통로를 통해 동영상 콘텐트 공유를 하고 있는 Zudeo.com가 아닐까... 이제는 HD의 시대. 고화질을 뜻하는 High Definition은 더 이상 우리에게 낯선 개념이 아니다. TV 등의 영상기기에서 보여주는 영상의 수준만큼이나 사용자의 기대 수준을 끌어올린 HD기술은 어느새 대중화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HDTV를 만날 수 있게 되었고 HD라는 로고를 달고 있는 제품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 최근엔 1080P 풀HD로 또 한번 변혁을 꾀하고 있는 HD는 더 생생한 고화질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꾸준한 기술 발전과 더불어 보급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웹서핑 중에..
어제 ZDNet을 통해 소개된 [구글, 비디오 제작자들에게도 광고 수익 배분 방침] 안에 등장하는 영상이 어떤 것인지 문득 궁금해졌다. 무려 3만 5천 달러의 수익을 거두게 해줬다는 동영상이 어떤 내용일까? 자... 해당 동영상을 찾아가기 전에 위 기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동영상을 올린 후 많은 사람들이 해당 동영상을 이용해서 수익이 발생하면 그 수익을 제작자에게 나눠주는 Revver.com 등에 대한 이야기와 이렇게 인기 동영상 제작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모델이 Google Youtube 등 동영상 UCC 사이트 전반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담고 있었는데... 동영상 UCC 사이트를 늘 모니터링하는 편이 아니다보니 이런 동영상이 이슈가 된 것도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방문한 것이다. Revv..
어제 전격적으로 발표된 Daum과 올블로그의 제휴와 관련해 이미 많은 포스트들이 올라간 상태여서 새삼스럽게 다시 이야기를 꺼내는게 조금 그렇지만 한번 더 이야기해보기로 하자. 올블로그... 올블로그에게 이번 제휴가 얼마나 큰 의미였을까? 사실 올블로그에게 포털과의 제휴가 그리 낯선 것이 아니다. 이미 엠파스, 네이트 등 다수의 포털 등과 제휴를 맺은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올블로그에 올라간 글들이 엠파스에서 검색 되거나 반대로 이글루스, 페이퍼 등에서 포스트를 발행하면서 올블로그로 '내보내기'를 하면 간단히 올블로그에 노출시킬 수 있는 등의 가시적인 제휴를 진행해온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 Daum과의 제휴는 기존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일단 보도 자료로만 본다면 Daum과 올블로그의 제휴는 타 포..
Google 인수설에 휩싸인 Youtube.com 어제는 Google의 Youtube 인수설로 블로그스피어가 소란스러웠다. 뉴욕 타임즈 등 미국 언론을 통해 전해진 이번 소식은 인수 가능성이 있느냐 하는 것 보다는 인수를 한다면 누구에게 더 이득이 될 것인가를 따져보는 이들이 많았는데 그건 Google의 Youtube 인수가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였기 때문이다. 모르긴해도 누구든 사가주길 바라고 있던 Youtube나 동영상 광고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 Google 모두 이번 거래를 성공시키고 싶어할 것이다. 그렇다면 Youtube의 성공 신화와 함께 우리나라를 휘몰아치고 있는 동영상 UCC 열풍은 어떻게 흐르고 있는 걸까? 이미 국내에는 Youtube와 비슷한 유형의 동영상 UCC 서비스들이 넘쳐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