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EARLY* by 라디오키즈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모든 글 보기 (12445)
    • N* Tech (7857)
      • Device (5267)
      • IT Service (1281)
      • ECO (253)
      • Science (1044)
    • N* Culture (2646)
      • Ani/Comics (83)
      • Design (1399)
      • Game (351)
      • Hobby (95)
      • Movie (366)
      • Music (153)
      • TV (144)
    • N* Life (1303)
      • Gourmet (366)
      • Health (206)
      • Travel (292)
    • N* Kidz (625)
      • AudioLog (73)
      • Etc. (299)

검색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야후

  • AOL vs 야후 vs 구글, 1993년 이후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 순위... 8분 순삭 동영상 by Captain Gizmo...

    2021.01.07 by 라디오키즈

  • 굴뚝산업 vs 기술산업, 10억 달러의 가치에 이르는데 걸린 시간은... 인포그래픽 by iFOREX...

    2015.02.06 by 라디오키즈

  • 플리커(flickr) 업!! 1TB 무료 공간에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자동 동기화 업로드로 관리하자...

    2014.05.14 by 라디오키즈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과거의 웹서비스들... 알타비스타, 딜리셔스...

    2010.12.20 by 라디오키즈

  • 구글 vs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vs 야후... 탑을 노리는 그들의 무한 경쟁...

    2010.01.26 by 라디오키즈

  • 전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웹브라우저, 검색 엔진, 운영체제는...?!

    2010.01.04 by 라디오키즈

  • flickr 론칭 파티... 후기?

    2007.08.26 by 라디오키즈

  • 구글 어스(Google Earth)... 한국에서 성공하기 싫은게냐~

    2006.06.15 by 라디오키즈

  • 구글(Google)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그들만의 월드컵!!

    2006.06.11 by 라디오키즈

  • UCC(User Created Contents)... 미디어와 열애중...

    2006.05.22 by 라디오키즈

  • Web 2.0을 향해 가는 포스트 웹메일 3인방.. Yahoo Mail, Microsoft Live Mail, Google Gmail

    2006.04.22 by 라디오키즈

AOL vs 야후 vs 구글, 1993년 이후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 순위... 8분 순삭 동영상 by Captain Gizmo...

현대인이라면 마치 숨을 쉬는 것처럼 연결되어 있고 사용하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인터넷입니다. 초기엔 군사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정보를 축적하고 검색하고 사람과 서비스를 이어 주기 시작하면서 공기나 물처럼 편리와 즐거움을 위해 이용하게 됐죠. 그런 인터넷에는 수많은 웹사이트가 존재하는데요. 저마다 다른 특성을 갖고 사용자와 만나고 있는 웹사이트에도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라이프 사이클이 있는 듯합니다. 필요에 의해 태어나 성장한 후 성공하거나 실패한 후 사라져 가니까요. 1993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웹사이트 순위... Gaptain Gizmo가 동영상으로 제작한 이 자료를 보면 그렇게 잘 나가는 사이트의 흥망성쇠를 엿볼 수 있는데요. 1993년부터 2020년까지 가장 많은..

N* Tech/IT Service 2021. 1. 7. 22:00

굴뚝산업 vs 기술산업, 10억 달러의 가치에 이르는데 걸린 시간은... 인포그래픽 by iFOREX...

오랜 세월 산전수전 다 겪은 전통 기업들을 흔히 굴뚝산업이라 칭하는데요. 긴 시간을 거쳐온 만큼 여전히 살아있다면, 대중에겐 브랜드 파워를 해당 업계에서는 시장을 리딩하는 저력을 보여주죠. 하지만... 투자자들의 관심은 기술산업에 꽂힌다... 10억 달러의 가치는 누가 먼저... ICT로 대표되는 기술산업의 시대에서는 그들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덜 눈에 띕니다. 이 인포그래픽은 유력 업체들이 10억 달러라는 기업가치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이 정리되어 있는데요. 투자자들을 자극하는 건 역시 새로운 무엇인가 봅니다. 할리데이비슨 모터사이클 86년 vs 트위터 3년 사무엘 아담스 25년 vs 인스타그램 2년 웬디스 37년 vs 에버노트 6년 마텔 25년 vs 핀터레스트 2년 나이키 24년 vs 야후 3년 프라..

N* Tech/IT Service 2015. 2. 6. 22:00

플리커(flickr) 업!! 1TB 무료 공간에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자동 동기화 업로드로 관리하자...

국내에서 야후(Yahoo!)가 철수하면서 사실상 거의 모든 야후의 서비스가 국내에서 외면을 받고 있지만 1TB라는 엄청난 용량을 지원하는 사진 공유 서비스 플리커(flickr) 만은 여전히 적잖은 분들이 쓰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한때는 업로드한 사진의 일괄 다운로드가 영 불편해서 사용을 피한 적도 있었지만 오랜 역사 만큼 풍부한 API를 활용한 서비스 중에서 DownloadAir라는 편리한 녀석을 만난 이후엔 부쩍 플리커 사용이 늘었는데요.^^ 그나마 고건 PC쪽 얘기고 모바일에선 플리커앱의 활용에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습니다.-_-;; 앱치곤 디자인도 구린데다 찍어놓은 사진의 자동 업로드 기능의 부재로 편리함이 떨어졌거든요. 플리커앱을 다시 쓰게된 이유는 원본 자동 동기화의 편리함 때문... 최소한..

N* Tech/IT Service 2014. 5. 14. 06:00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과거의 웹서비스들... 알타비스타, 딜리셔스...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면 사라지는 서비스도 있는 법. 구글과의 힘겨운 인터넷 싸움을 계속하고 있는 야후가 최근 몇가지 웹서비스의 폐쇄 계획을 발표했다. 엄밀히는 아직 최종 결정은 아니라고 하지만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 오랜동안 웹을 접했다면 알만한 추억의 서비스들이지만 '추억'이라는 딱지가 붙을 만큼 이용도가 떨어진게 서비스들이기 때문이다. 허나 한때 국내에서도 사랑받았던 검색엔진 알타비스타(Altavista)와 소셜 북마킹 서비스 딜리셔스(Delicious)의 폐쇄 소식에선 아쉬움이 묻어난다. 야후의 핵심 사업이 아니었던 만큼 또 더 이상 사용자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는 만큼 폐쇄는 일견 당연해 보이지만.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검색엔진 알타비스타의 역사는 파란만장했다. 1990년대 중반 디지털이큅..

N* Tech/IT Service 2010. 12. 20. 20:00

구글 vs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vs 야후... 탑을 노리는 그들의 무한 경쟁...

IT 시장의 3대 거두를 꼽으라면... 운영체제를 틀어쥔 전통의 강자 마이크로소프트, 검색 시장을 틀어쥔 신흥 강자 구글, 여러 분야에서 빛나는 성과를 내고 있는 성공가도 애플 정도를 꼽을 수 있지 않을까? 여기 한장으로 그들이 경쟁하는 부분을 정리한 이미지가 있어 살짝쿵 소개해볼까 한다. 그리고 보니 어둡게 가라앉고 있는 야후도 보이는...;; 뉴욕 타임즈의 닐 빌튼(Nick Bilton)이 정리한 이 그래프에서는 각 업체가 경쟁하고 있는 분야가 무엇이고 아직 경쟁하지 않는 부분은 어딘지 등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다. 모바일 하드웨어(스마트폰)부터 게이밍 하드웨어(콘솔 게임기)까지 모두 25개 분야를 중심으로 각 사의 전투가 생생히 담겨 있는데... 자신의 윈도폰을 내놓을까... 마이크로소프트(Micr..

N* Tech/IT Service 2010. 1. 26. 08:30

전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웹브라우저, 검색 엔진, 운영체제는...?!

인터넷 시장의 성장과 쇄락, 그 변화의 움직임을 한눈에 확인하는데는 객관적인 통계만큼 좋은 자료는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마켓 쉐어(Market Share)가 집계한 자료를 소개하려 한다. 그들의 통계를 바탕으로 전세계에서 검색 엔진과 웹브라우저, 운영체제 등 IT 관련 시장 점유율 순위와 그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자. 구글 천하, 검색 엔진 시장... 우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세계인이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인 '검색'. 그런 검색을 위해 사용하는 검색 엔진의 인기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상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구글(Google)의 위용은 대단했다. 무려 85% 이상의 사용자를 아우르고 있는 그들의 저력은 어느새 과점이 아닌 독점이라 칭해도 될만한 수준.-_-;; 그 다음으로 야후(Yahoo..

N* Tech/IT Service 2010. 1. 4. 08:30

flickr 론칭 파티... 후기?

세계적인 사진 공유 서비스 flickr가 Yahoo에 인수된지도 한참의 시간이 지났다. 여전히 북미 등에선 인기 사진 공유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지화의 미비 등으로 사용자가 적었던 것이 사실. 이런 상황에서 Yahoo 코리아가 flickr의 한글 서비스를 시작하며 조촐한 론칭 파티를 열었다. flickr 론칭 파티 이야기... 지난 목요일 밤 flickr가 준비한 파티엔 파티라는 컨셉과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나도 끼어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그 전날인 수요일 밤에 있었던 flickr 행사에 참여하고 싶었지만 시간 문제로 어색한 파티에 살짝 다리만 걸친 것. 7시에 시작한 론칭 파티에 9시가 다되서 들어간 나.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북적이며 파티를 즐기고 있었지만 뭐랄까...-_- 대부분..

N* Tech/IT Service 2007. 8. 26. 22:23

구글 어스(Google Earth)... 한국에서 성공하기 싫은게냐~

엊그제 그러니까 6월 12일 발표된 구글 어스(Google Earth)의 새로운 버전이 출시됐죠. 어느새 4번째 버전입니다. 대대적인 지도 이미지 추가와 기능 보강이 이뤄졌다고 합니다. UI도 수정되고 구글 스케치업(Google Sketchup)과의 연계도 강화되었고요. 이래저래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사용해 보신 분들이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기능적인 부분은 떠나서..-_- 깊이 사용해보지 않아 기능을 따지긴 어렵네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성공하려면 아직 갈길이 먼것 같습니다. 사용된 지도 데이터 등 부족한게 많네요. 일단 구글의 정책인지... 지도 데이터가 너무 예전 겁니다. 충격적인 걸 보여드릴까요? 구글 어스 4(Google Earth 4)로 찾은 강남 교보빌딩입니다. 보이시죠. -_-..

N* Tech/IT Service 2006. 6. 15. 14:33

구글(Google)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그들만의 월드컵!!

국내 포털은 2002년 이상으로 뜨겁게 달아올라 있는 상태더군요. 사실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열기가 예상을 뛰어넘었고 마케팅 효과도 엄청났으니 2006년 독일 월드컵 호재를 그냥 넘길리가 없었죠. 포털 메인과 월드컵 특별 섹션 등 온통 붉게 불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외파들은 어떤 모습으로 월드컵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야후(Yahoo!)는 많이 알려진 것 처럼 FIFA의 공식 후원사이기에 독점적인 위치에서 월드컵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구축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구글(Google)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다른 포털들과는 다른 그들만의 행보를 펼쳐보이고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구글의 경우 구글은 역시나 자사의 웹사이트를 통해 월드컵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특기인 로고 바꿔치기..

N* Tech/IT Service 2006. 6. 11. 00:21

UCC(User Created Contents)... 미디어와 열애중...

Web 2.0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어렵지 않게 연상되는 단어가 바로 UCC죠. 소위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잘 굴리면 돈이 된다.'라는 것이 최근 각 인터넷 업체의 화두라면 화두니까요. 한국형 Web 2.0으로 불리며 네이버를 1위의 독보적인 포털로 이끈 것 중에 하나가 '지식검색'으로 대표되는 네이버의 UCC 서비스였고 그 외에 디씨인사이드와 같이 합성 사진 등의 형태로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화제가 되었던 초기 우리나라의 UCC 서비스도 있었고요. 여기에 최근엔 판도라TV와 같이 동영상 UCC로 관심을 받고 있는 서비스도 있는데요. 최근 이 동영상 컨텐츠가 화제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판도라TV와 같이 동영상 UCC를 서비스의 주력을 삼는 형태도 있으며 동영상 UCC시..

N* Tech/IT Service 2006. 5. 22. 13:30

Web 2.0을 향해 가는 포스트 웹메일 3인방.. Yahoo Mail, Microsoft Live Mail, Google Gmail

요즘도 그렇게 이메일을 쓰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인터넷 시장이 한창 뜨겁게 관심을 받을때는 한 사람이 몇개의 이메일 계정을 사용하는지 설문조사도 했었죠. 그때만 해도 각 포털 및 웹메일 전문 사이트들이 난립해서 맘만 먹으면 수십개의 계정도 갖을 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이후 누리꾼들은 수십개의 이메일을 관리하기 보다는 소수의 사용하는 계정만 남기고 사용치 않는 메일은 정리하는 쪽으로 바뀌어갔죠. 저도 용도에 따라서 3개 정도의 계정만 남겨서 사용하고 있거든요. 흐름이 그렇다 보니 웹메일들은 살아남기 경쟁을 벌여야 했습니다. 이용자들이 소수의 계정만 사용하게 되니 눈에 들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거겠죠. 물론 포털을 통해 특색없이 이메일이 제공되던 때도 있었지만 현재는 그런 포털들이 앞다퉈 타 ..

N* Tech/IT Service 2006. 4. 22. 20:05

추가 정보

반응형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