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500
- Total
- 42,210,454
목록스냅드래곤 (16)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노키아에서 떨어져 나온 후에도 꿋꿋이 고가의 럭셔리폰 라인을 유지하고 있는 베르투(VERTU). 그들이 최근 또 하나의 라인을 선보였습니다. 노키아 시절엔 피처폰과 심비안 플랫폼 등으로 단말을 내놨지만 어느새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전향해 자신들 만의 스타일을 더한 스마트폰을 선보이고 있는 건데요. 하늘의 별처럼 부자들의 손 끝에서 빛나고 싶을... 최근 그들이 내놓은 모델의 이름은 별자리라는 뜻의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탄탄한 사파이어 크리스탈 디스플레이, 강철보다 단단한 티타늄 바디에 이어지는 가죽 재질 하부와 후면으로 특유의 고급스런 질감까지 전해주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선보였는데요. 고가의 단말답게 영국의 장인들의 손을 거쳐 세심한 마무리로 완성됐다고 합니다. 물론 가죽 하나도 허투..
=_= 연말이라고 은근히 이것저것 일들이 많네요. 그렇다보니 며칠된 행사 이야기를 이제서야 정리하네요. 다짜고짜 본격적인 얘기를 해볼까요? 스마트폰의 성장과 함께 가장 핫한 회사 중 하나로 거듭나고 있는 퀄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IT 산업이 PC 기반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기반으로 옮겨가면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업체 중 하나가 바로 퀄컴이죠. 피처폰 시절부터 CDMA를 우리나라와 함께 개발했다는 이유로 국내에선 익숙했던 퀄컴이지만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가면서 더욱 각광받고 있는 그들. 신선한 정보가 조금 아쉬웠던 행사 이야기... 그런 퀄컴이 준비한 IT 포럼에서 공개한 내용은 뭔가 신선하다기 보다 심심한 것들이 많았습니다. =_= 새로운 무엇을 꺼내놓은게 적었거든요. 행사의 시작은..
천하의 애플조차 저가의 보급형 스마트폰 시장을 노리고 아이폰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할 거라는 소문이 돌고 있죠. 프리미엄 시장의 절대 강자인 애플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수 없을만큼 피처폰이 지배하던 시장을 안드로이드 기반의 저가 스마트폰들이 빠르게 채워가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그런 움직임이 더 커져갈거라고 하는데요. 소니 모바일이 엑스페리아 E(Xperia E)를 선보인 이유도 그렇겠죠. 그렇습니다. 엑스페리아 E는 참으로 저렴해 보이는 구성을 갖춘 녀석입니다. 뭔가 후덕해 보이는 뒷태, 엑스페리아 E... 3.5인치의 앙증맞은 터치 스크린은 HVGA(320 x 480) 밖에 안되는 해상도에 1GHz 퀄컴 스냅드래곤 MSM7227A 프로세서, 320만 화소 카메라, 1,500mAh 배터리, 안드로이드 4.1..
중국 최대의 스마트폰 제조사이자 얼마전 국내에서도 스마트폰을 조심스레 유통하기 시작한 중국의 ZTE. 사진 속 스마트폰은 그들이 미국 시장에 출시한 ZTE 플래시(Flash)라는 모델인데요. 1,260만 화소 카메라는 나의 힘, ZTE Flash... 4.5인치 HD 디스플레이와 1.5GHz 듀얼 코어 스냅드래곤 MSM8960 프로세서, 1GB 메모리, 8GB 저장공간, NFC, 블루투스 4.0, 1,780mAh 배터리,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등 어딘가 평이한 구성인데요. 남다른 점이 있다면 바로 1,260만 화소 카메라. 통상의 경쟁 모델이 아직 800만 화소대에 머물고 있는 것과 달리 1,260만이란 상징적인 화소수로 경쟁 모델과 맞설 생각인 모양입니다. 단순한 고화소가 아니라 실질적..
얼마전 LG전자가 하반기에 출시할 새로운 옵티머스에 듀얼 코어 테그라 2를 탑재해 스마트폰 속도 경쟁에 불을 당긴다는 글을 쓴적이 있다. 허나 듀얼 코어로 넘어가려는 움직임은 LG전자에서만 발견되는게 아니었으니... 2010/09/07 - LG전자, 듀얼 코어 테그라 2로 스마트폰 대전의 2막으로 준비하다...!! 삼성전자와 퀄컴의 분주한 행보... 최근 주요 모바일 프로세서 제조사들이 앞다퉈 차세대라 부를만한 듀얼 코어 제품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그만큼 스마트폰의 속도 경쟁이 재점화될 것 같은데 최근 듀얼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를 내놓기로 한 업체들을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오리온(Orion)이라는 이름의 듀얼코어 프로세서 출시를 예고했다. 현재 갤럭시 S에서 사용되고 있는 허밍버드 프로세서와 같은..
초기 국내 안드로이드폰 시장은 모토로이와 안드로원 등이 열었지만 본격적인 경쟁은 사실 이후에 출시된 모델들로부터 시작된 것 같다. 2차 대회전을 시작한 업체들은 이제 누가 더 한국인에게 알맞는 모델을 내놓느냐의 한국형 경쟁을 시작했는데... '한국형'이라는 타이틀을 건 경쟁의 주인공은 팬택의 시리우스, 삼성전자의 갤럭시 A. 그리고 LG전자의 옵티머스Q다. 한국형 안드로이드폰 옵티머스Q... 최상이라는 뜻의 옵티머스(Optimus), 그리고 쿼티 키패드, 또 검증받았다는 의미의 Q를 결합한 옵티머스Q는 LG전자의 본격적인 안드로이드폰 진출작이자 향후 이어질 옵티머스 시리즈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물론 안드로원 같은 모델이 있긴 했지만 해외 시장에 그것도 보급형으로 출시된 모델이었기에 LG전자 안드로이드폰의..
자. 맥스폰 그 두번째 이야기다. 지난 글에서 맥스폰의 외형과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가 주였다면 이번에는 본편이랄 수 있는 맥스폰의 퍼포먼스 이야기. 2010/03/16 - [MAXX 리뷰] 스냅드래곤으로 무장한 LG전자 맥스폰과의 첫만남... 맥스폰 출시 후폭풍이 거세다. 스냅드래곤이 보여주는 퍼포먼스가 조금씩 알려지면서 그 동안 스마트폰도 아닌 것들이 버벅이는 일반 휴대전화에 지친 이들의 마음이 동하고 있는 것. 확실히 달라진 휴대전화... 실제 맥스폰을 쓰면서 느끼는 것도 확실히 이전의 휴대전화들보다 반응이 빠르다는 점이다. 전반적으로 이전의 모델들보다 화면 전환을 비롯해 하다못해 연락처 조회 속도도 빨라진 느낌이다. 광속으로 빨라졌다 까지는 아니지만 확실히 빠릿빠릿해졌다는 게 느껴질 정도라는 얘긴데..
스냅드래곤(Snapdragon). 미국의 퀄컴이 ARM의 기술을 접목해 개발한 프로세서로 1GHz라는 인상적인 속도로 스마트폰의 성능을 확실하게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헌데 LG전자 최근 이 스냅드래곤을 일반 휴대전화에 적용하는 시도를 했는데 출시 전에는 분에 넘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없지 않았지만 뚜껑을 연후에는 일반 휴대전화의 퍼포먼스를 확실히 끌어올렸다는 긍정적인 신호들이 들려오고 있는 맥스(MAXX LG-LU9400) 이야기다. 포장 상자에 담긴 메시지... 포장 상자 전면이다. OZ 2.0을 최초로 탑재한 모델답게 전면에는 스마트폰은 아니지만 스마트폰처럼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실제로 맥스 안에는 OZ APP이라는 이름의 어플 다운로드 센터가 ..
일반 휴대전화의 속도가 무려 1GHz. 국내 최초로 퀄컴사의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탑재하며 눈길을 끈 모델, LG전자가 LGT용으로 새로이 출시한 맥스(MAXX) 이야기다. 2010/02/09 - 파스타에 강림한 스냅드래곤 탑재폰, LG전자 맥스(Maxx) LG-LU9400 특히 대중들에게는 인기를 끌고 있는 트렌디 드라마 파스타를 통해 그 모습이 처음 전해지기도 했는데... 그래서일까? 이번 간담회는 매주 금/일에 실제로 파스타를 찍고 있다는 이탈리안 레스토랑 보나세라에서 진행됐다. ...드라마를 그다지 열심히 본 편이 아니라서 내겐 다소 낯선 공간이었지만 함께한 블로거 중엔 이곳이 그 계단, 저기가 드라마속 세트랑 같은 주방이라며 연신 사진 찍어대기 바쁜 사람들도 있었으니...;; 세계 최초 스냅드래..
자신들만의 철옹성 같은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어 종종 모바일 갈라파고스 제도로 불리우고 있는 일본.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경쟁사보다 먼저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내놓은 도시바의 행보는 스마트폰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국내엔 출시되지 못하고 있지만 그들의 스냅드래곤 스마트폰 TG01에 군침을 흘렸을 많은 누리꾼들에게 도시바가 새롭게 준비한 모델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모두 MWC 2010을 통해 공개된 녀석들이다. 전작을 뛰어 넘을... TG02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1GHz의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채택해 느리기로 유명한 윈도우폰에서도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던 도시바의 TG01. 그 뒤를 잇는 모델이 바로 TG02다. TG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