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EARLY* by 라디오키즈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모든 글 보기 (12445) N
    • N* Tech (7857) N
      • Device (5267) N
      • IT Service (1281)
      • ECO (253)
      • Science (1044) N
    • N* Culture (2646) N
      • Ani/Comics (83)
      • Design (1399)
      • Game (351) N
      • Hobby (95)
      • Movie (366)
      • Music (153)
      • TV (144)
    • N* Life (1302) N
      • Gourmet (366)
      • Health (206)
      • Travel (292)
    • N* Kidz (625)
      • AudioLog (73)
      • Etc. (299)

검색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검색 엔진

  • 다큐 감시사회에 소개된 개인정보 수집없는 검색 엔진, 덕덕고... 하지만 현실은...

    2013.09.09 by 라디오키즈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과거의 웹서비스들... 알타비스타, 딜리셔스...

    2010.12.20 by 라디오키즈

  • 전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웹브라우저, 검색 엔진, 운영체제는...?!

    2010.01.04 by 라디오키즈

  • 2009년 미국 아이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인기 검색어는...?!

    2009.12.23 by 라디오키즈

  • 아직은 경험치가 부족해 보이는... 한뼘 검색 Qrobo

    2008.10.31 by 라디오키즈

  • [WIS 2008] 의미검색, 한뼘검색 Qrobo를 선보인 시맨틱스 부스...

    2008.06.20 by 라디오키즈

  • Yahoo!와 Google 사용자의 차이... Yahoo!는 젊고 Google은 돈을 더 쓴다?

    2008.02.18 by 라디오키즈

  • 검색엔진 유입 통계... 네이버 복사 문서 판독 시스템의 효과?

    2007.08.31 by 라디오키즈

  • [나루백서-비교체험] 당신은 어떤 블로그 검색을 이용하시나요?

    2007.07.09 by 라디오키즈

  • 네이버, 다음, 엠파스... 그들의 미묘한(?) 추천 검색어 전쟁!

    2006.11.10 by 라디오키즈

  • 정말 IE 7는 네이버를 위기로 몰아넣을까?

    2006.09.24 by 라디오키즈

  • 손(?) 빠른.. Daum과 Yahoo!

    2006.07.26 by 라디오키즈

  • 첫눈... 결국 NHN의 품으로...

    2006.06.29 by 라디오키즈

다큐 감시사회에 소개된 개인정보 수집없는 검색 엔진, 덕덕고... 하지만 현실은...

혹시 지난 밤 SBS 스페셜을 통해 방송된 '감시사회 누군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챙겨 보셨나요? 인터넷에 꽤 많은 이야기, 소소한 일상까지 올리는 블로거들에게는 더 움찔하게 되는 에피소드가 아니었나 싶은데요. 기술이, 인터넷이 우리의 삶을 편하게 만든 건 사실이지만 개인 정보가 더 이상 개인만의 정보가 아닌 시대. 정부와 기업이 오만 가지 이유를 붙여가며 우리의 정보를 수집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보니 개인정보나 보안에 대해 무뎌질대로 무뎌진 나 자신. 개인정보 수집 없는 깔끔한 검색 엔진, 덕덕고... 혹시 여러분은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조금이라도 노력하고 계신게 있으신가요? 그저 막연한 두려움 정도를 품고만 사셨다면 검색 엔진도 바꿔보고 브라우저를 사용할때 오고가는 내 개인정보 보안에 조금 힘..

N* Tech/IT Service 2013. 9. 9. 07:30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과거의 웹서비스들... 알타비스타, 딜리셔스...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면 사라지는 서비스도 있는 법. 구글과의 힘겨운 인터넷 싸움을 계속하고 있는 야후가 최근 몇가지 웹서비스의 폐쇄 계획을 발표했다. 엄밀히는 아직 최종 결정은 아니라고 하지만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 오랜동안 웹을 접했다면 알만한 추억의 서비스들이지만 '추억'이라는 딱지가 붙을 만큼 이용도가 떨어진게 서비스들이기 때문이다. 허나 한때 국내에서도 사랑받았던 검색엔진 알타비스타(Altavista)와 소셜 북마킹 서비스 딜리셔스(Delicious)의 폐쇄 소식에선 아쉬움이 묻어난다. 야후의 핵심 사업이 아니었던 만큼 또 더 이상 사용자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는 만큼 폐쇄는 일견 당연해 보이지만.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검색엔진 알타비스타의 역사는 파란만장했다. 1990년대 중반 디지털이큅..

N* Tech/IT Service 2010. 12. 20. 20:00

전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웹브라우저, 검색 엔진, 운영체제는...?!

인터넷 시장의 성장과 쇄락, 그 변화의 움직임을 한눈에 확인하는데는 객관적인 통계만큼 좋은 자료는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마켓 쉐어(Market Share)가 집계한 자료를 소개하려 한다. 그들의 통계를 바탕으로 전세계에서 검색 엔진과 웹브라우저, 운영체제 등 IT 관련 시장 점유율 순위와 그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자. 구글 천하, 검색 엔진 시장... 우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세계인이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인 '검색'. 그런 검색을 위해 사용하는 검색 엔진의 인기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상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구글(Google)의 위용은 대단했다. 무려 85% 이상의 사용자를 아우르고 있는 그들의 저력은 어느새 과점이 아닌 독점이라 칭해도 될만한 수준.-_-;; 그 다음으로 야후(Yahoo..

N* Tech/IT Service 2010. 1. 4. 08:30

2009년 미국 아이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인기 검색어는...?!

한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되면 각 검색 엔진들은 올 한해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가 무엇인지 또 어떤 이슈가 2009년을 달궜는지를 정리해서 소개하곤 한다. 이미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 구글(Google)은 1위 마이클 잭슨, 2위 페이스북, 3위 투엔티(Tuenti), 4위 트위터, 5위 사나리카(Sanalika), 6위 뉴문, 7위 레이디 가가, 8위 윈도우즈 7, 9위 단트리(dantri.com.vn), 10위 토피도 그라티스(Torpedo gratis) 등을 꼽았고 국내 업체들도 앞다퉈 올한해 인터넷을 달군 단어들을 뽑아내 소개했다. 자. 그럼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뽑았을 이 키워드와 달리 한 사이트가 조사 발표한 미국의 아이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단어는 무엇인지 잠시 살펴보기로 하자. 미국의 아이들은..

N* Tech/IT Service 2009. 12. 23. 14:00

아직은 경험치가 부족해 보이는... 한뼘 검색 Qrobo

오랜만에 찾은 Qrobo는 지난 6월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아직 국내에서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Qrobo는 사람의 손을 빌은 소위 휴먼 터치를 최대한 배제한 체 수많은 봇들이 에디터의 일을 대신하고 있는 검색 엔진이다. 2008/06/20 - [WIS 2008] 의미검색, 한뼘검색 Qrobo를 선보인 시맨틱스 부스... 지난 6월 WIS 2008의 시맨틱스 부스에서 만났던 심플한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첫 화면. 아직 제공하는 정보의 가짓수는 적으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정보 나열식의 펼침 화면으로 새로워졌다. 달라진 Qrobo의 얼굴... 가장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건 첫 화면 한가운데 자리한 '화제의 집중조명'. 이슈를 전문으로 좇는 로봇에 의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운영된다는 뉴..

N* Tech/IT Service 2008. 10. 31. 13:14

[WIS 2008] 의미검색, 한뼘검색 Qrobo를 선보인 시맨틱스 부스...

국내 검색 시장의 포화... 아니 네이버에 의한 과도한 독점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검색 엔진을 선보이려고 한다는 것 자체가 의아해 보였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의미검색과 한뼘검색이라는 차별성으로 검색 엔진 경쟁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는 시맨틱스(SEMANTICS)는 검색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좀 달랐던 것 같다. 지난 6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열리는 국내 최대의 IT 관련 전시회인 WIS에서 손꼽힐 정도로 큰 부스 규모를 자랑한 시맨틱스의 부스는 3층에 들어서면 바로 오른편에 펼쳐져 있었다. 아직 alpha final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었지만 오랜 기간 준비했을 검색엔진 Qrobo의 시연을 해볼 수 있게 부스의 상당 부분을 시연장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새로운 검색엔진을 사용해보려..

N* Tech/IT Service 2008. 6. 20. 09:38

Yahoo!와 Google 사용자의 차이... Yahoo!는 젊고 Google은 돈을 더 쓴다?

최근 Microsoft의 인수 대상으로 떠오르며 다시 한번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디렉토리 검색의 강자 Yahoo!와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 점유율을 자랑하는 Google의 대결. 일단은 Google의 절대적 우위에 Yahoo!는 과거의 위세를 꺾인체 힘겹게 따라잡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단순한 점유율 비교와 달리 Hitwise UK에 근무하는 Heather Hopkins가 자신의 블로그에 소개한 Yahoo!와 Google의 사용자 비교는 또 다른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Yahoo! 검색 사용자가 더 젊다? 우선 두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이들의 연령 분포다. 각각의 그래프를 잘 살펴보면 큰 차이는 아니지만 Yahoo!쪽은 젊은 사용자의 비율이 높고 반대로 Google은 고연령층의 사용자 비율이 높다. 이런..

N* Tech/IT Service 2008. 2. 18. 09:52

검색엔진 유입 통계... 네이버 복사 문서 판독 시스템의 효과?

지난 8월 중순 올블로그에서는 네이버 복사 문서 판독 시스템이 뜨거운 감자였다. 네이버 복사 문서 판독 시스템이란 간단히 말해 네이버가 블로그 포스트 검색 시에도 중복 검사 기능을 제공해서 펌글을 배제한 원본글을 찾아주겠다는 것이었고 소식이 전해지자 마자 우려와 기대에 대한 이슈가 쏟아져 나온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네이버 검색이 국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힘에 자사 서비스를 유난히 우대했던 그들의 전력이 복사 문서 판독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 궁금해 하는 이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관심은 이내 부정적인 여론으로 굳어지기 시작했는데... 자신이 쓴 글이 원본임에도 검색이 되지 않고 퍼간 글이 원본글처럼 검색에 노출된다는 사실에 분개하는 블로거들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

N* Tech/IT Service 2007. 8. 31. 10:27

[나루백서-비교체험] 당신은 어떤 블로그 검색을 이용하시나요?

블로고스피어의 성장과 함께 양질의 정보들이 블로그에 쌓여가는 요즘. 블로그 여기저기에 많이 쌓여있는 정보를 잘 찾아주는 검색 엔진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그런 탓일까? 블로고스피어를 타깃으로 하는 검색 엔진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블로그 전문 검색 엔진을 표방하고 나선 Naaroo와 같은 서비스도 있고 블로고스피어 개척에 앞장섰던 메타 블로그인 올블로그의 검색 서비스도 있다. 여기에 보기엔 가장 둔감해 보이지만 규모의 시장을 가지고 꾸준히 성장 중인 포털의 블로그 검색까지... 블로그에 한참 관심이 많은 당신이라면 어떤 검색 엔진을 선택하겠는가? 대표적인 3가지 검색 서비스를 함께 살펴보자. 백화점식 블로그 검색... 올블로그 검색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메타 블로그인 올블로그는 자사의 블로그 검색..

N* Tech/IT Service 2007. 7. 9. 11:56

네이버, 다음, 엠파스... 그들의 미묘한(?) 추천 검색어 전쟁!

사실 이 부분은 '추천 검색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하는 검색어를 미리 예측하여 예상 검색어를 뽑아주는 서비스 정도로 설명할 수 있을까? 아무튼 제공하는 기능은 비슷하지만 포털 별로 해당 서비스를 부르는 이름은 다른데 네이버의 경우 '검색어 자동완성', Daum은 '서제스트', 엠파스는 '검색어 자동완성'등으로 부르고 있다. 우연찮게 A포털에서 B포털을 검색해봤는데... 의외로 재미있는(?) 모습이 엿보여서 포스트를 통해 소개해본다.(한마디로 별거 아니라는 이야기다.) 평범... 공정... Daum 서제스트 뭔가 번잡해 보이는 이미지지만 자세히 보면 별 내용은 없다. Daum의 검색창에 'Naver, Nate, Yahoo!, Empas'등..

N* Tech/IT Service 2006. 11. 10. 20:55

정말 IE 7는 네이버를 위기로 몰아넣을까?

다소 낚시성 제목을 달고 있는 기사를 보게됐다. "IE7.0 출시는 네이버의 위기"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이 기사는 디지털데일리의 기사로 22일에 있었던 '검색엔진 통합 마케팅 컨퍼런스 2006'에서 발표된 내용을 옮겼다는 기사였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찬찬히 읽어봤지만 IE 7이 네이버를 위기에 몰아넣으리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퀵탭, 검색도구막대가 위협의 씨앗? 기사에는 IE 7에 들어가는 퀵탭과 검색도구막대, 그리스몽키 등의 세가지 기능이 네이버를 위협할 것이라고 적고 있지만... 글쎄... 우선 퀵탭에 대해 알아보자. 퀵탭은 IE 7이 탭 브라우저로 바뀌면서 한꺼번에 여러탭을 열었을때 창간 이동을 돕고 많은 창 중 원하는 창을 쉽게 찾기 위해 추가된 기능으로 쉽게 생각하면 윈도우의 Alt + ..

N* Tech/IT Service 2006. 9. 24. 17:44

손(?) 빠른.. Daum과 Yahoo!

덮어놓고 손이 빠르다고 제목을 달아놔서..-_-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있겠지? 위의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다른 내용은 아니고 블로그의 주소 변경 신청이 빨리 처리되었다는 이야기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대부분의 국내 포털은 수작업을 통해 디렉토리와 웹사이트 등록이 이뤄진다. 더욱이 일부 검색 엔진은 유료 등록이 아니면 등록도 안해주는..-_-+ 얄팍한 상술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봐야 나중에 검색하면 다 나올텐데... 아무튼 이야기는 어제 오후로 옮겨간다. 그제 늦은 저녁 기존 Korserve에서 Tistory로 블로그를 옮긴 이후 여기 저기 검색엔진을 돌아보고 있었다. 이전 Korserve에서는 직접 혹은 메타 블로그로 찾아오는 인원 만큼이나 많은 수의 방문자가 검색 엔진의 결과를 통..

N* Tech/IT Service 2006. 7. 26. 17:06

첫눈... 결국 NHN의 품으로...

온라인 검색의 신성으로 떠올랐던 '첫눈'이 결국 NHN의 품에 소복히 내렸다. 한달전 쯤 전부터 언론을 통해 첫눈이 여러 업체와 접촉중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왔었고 나도 블로그에 관련 내용을 정리했었다. 당시 첫눈을 사들일 것이라고 거론된 후보들은 네이버와 SK커뮤니케이션즈 등의 국내 업체와 한국과 아시아에서의 세 확장을 위해 M&A를 할 것이라는 소문을 계속 달고 다니던 Google이었는데... 오늘 아침 공식 보도를 통해 네이버로의 인수 소식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소식이 알려진 탓에 블로그스피어 이곳 저곳이 시끄럽다. 이미 많이 예상되고 회자된 이야기였지만 관련 기사를 자신의 블로그로 스크랩하는 블로거부터 짧게 혹은 길게 자신의 생각을 달고 있는 글들이 넘치고 있다. kukie님 NHN, 첫눈 350억..

N* Tech/IT Service 2006. 6. 29. 10:44

추가 정보

반응형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