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가끔 인터넷으로 뉴스를 확인하다보면 '이건 아니잖아~'라는 느낌의 기사를 접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미디어 포털을 표방하며 경쟁 포털에 비해 더 많은 뉴스 소스 제공을 위해 애쓰는 Daum의 경우 더 어처구니없는 모습을 보여주곤 하는데...
Betanews... 정말 기사인거냐?
이를테면 도대체 언론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베타뉴스 등에서 기사를 넘겨받는 것이다.
기실 '베타뉴스'는 컴퓨터 혹은 IT 관련 커뮤니티로 시작해서 이제는 어엿한 사업체로 성장한 커뮤니티 답게 많은 정보가 쌓이긴 한다. 물론 그 중에는 기사의 가치가 있는 글도 있겠지만...
가끔 베타뉴스을 원소스로 하여 Daum에 공급되는 기사들은 그 기사로서의 가치가 의심스러운 경우가 있다. 특히 지난주 -_- 목 or 금요일은 가관이었다. 무슨 Windows Vista Beta 2 DVD가 도착했다고 올려놓은 글을 베타뉴스의 모 기자가 올린 글이라면 소개한 것도 어이없었는데...(사실 더 어처구니 없는 것들도 많다.)
그나마 해당 기사는 오래됐다는 이유로 Daum에서 내려진 것 같다.
14일 올라온 Kaspersky에 대한 이 기사도 어이없긴 매한가지.
도입부만 보자면 정말 이게 기사인가 싶다. 물론 뒤에는 살짝 리뷰 형태를 띄긴 했지만 전문적인 기사라고 보기엔 부족한 게 많다.
물론...-_- 기존의 대형화된 언론사와는 다른 접근으로 작성된 기사를 만날 수 있다는 건 인터넷 뉴스를 즐겨 보는 구독자로서 마다할 이유는 없지만... 이건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나마 다른 기사들 중의 상당수는 업체가 보내오는 보도자료를 고대로 올리는 수준이니...(이건 다른 언론사도 마찬가지...)
최근 국내에서도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신문 지상에 소개하려는 Blogplus 등의 시도 등 다양한 시장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더라도 타인에게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제공할 목적이라면 조금은 다듬어지고 공을 들인 글로 찾아가는게 맞는 것이 아닐지...
광고를 걸려면 제대로 좀...
또 다른 건 소스의 문제가 아닌 Daum의 광고 시스템에 대한 에피소드다.
오늘 게시된 동일한 기사 '[게임] 자동사냥기계 온라인서도 불티?'를 보면 아이러니가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기사는 '자동 사냥 기계가 온라인 게임 시장을 혼란시키고 있으며 아직 뚜렷한 제제 방안이 없다.'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기사의 맨 아랫 부분을 읽다보면 실소를 금할 수가 없다.
맨 아래에 달린 이 광고 때문이다.
-_- 오토 마우스라니...(지금 보니 스폰서 링크의 광고가 2개에서 3개로 늘어났다.)
스폰서 링크가 어떤 시스템인지는 잘 모르겠다.
키워드 매칭인 건지 아니며 개별건마다 수작업으로 광고를 걸고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이런 웃기는 상황은 만들지 말아야 하는 것이 아닐런지. 그러고 보니 수작업은 아닐 것 같다. 설마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자동 사냥 관계 프로그램을 판매한다는 광고를 사람이 직접 붙이지는 않았을 테니...
댓글 영역
IT에 기반을 둔 대안언론이 생겨난건 좋은데.. 질이 전체적으로 너무 떨어져서 참 보기 안타깝습니다.
뉴스란게.. 인기있는건 다 연예인 신변잡기 뿐이고..
IT뉴스도 제품 정보나.. 광고비스무리 한것 뿐이니..
정보의 정확도와 심도있는 뉴스보다는.. 빠른게 우선시 되는 상황때문이라는데.. 보기엔 좀 그렇네요~
키워드 매칭만 해도...-_- 애초에 저런 문제가 있는(?) 광고들은 함부로 수주하지 않아야 하는게 아닌지. 포털에서 대출광고나 봐야 한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최근 태깅을 통한 자동광고 시스템 일부는 부정적인 기사에서는 해당 광고를 노출하지 않는 시스템도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반면 국내 포털은 인력집약적 시스템으로 검색 서비스 등을 운영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 모양이죠. ^^ 시스템적인 문제는 꾸준히 개선되리라고 믿을 수 밖에요.
그나저나 포털들이 어느정도 정화를 해 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동사냥이라.... 아이템이 뭔지... 돈이면 다인가??
애초에 저런 문제있는 광고를 수주하지 않는게 옳은 게 아닐까 합니다. 돈만 되면 뭐든 좋다. 이런건 빨리 지양해야 겠죠.
더욱이 기사 위에 OOO 기자라고 표시되는 것 때문에 더 거슬렸답니다. 정말 기자일지 의심스럽다고 할까요. -_- (물론 이것도 자동으로 그렇게 표시되는 것일수도 있겠지만..)
베타뉴스에서 송고하려는 기사가 아닌 일반 게시물이 올라왔다면 시스템 문제라고 돌릴 수 있겠지만 그렇더라도 빨리 모니터링하고 수정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되는 건 마찬가지죠.
자사의 글이 돈을 받고 파는 거라면 모니터링은 기본이 아닐까요.^^; 대안언론(?)이라지만 좀 더 성숙한 운영 형태를 바랄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