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아재 소리 듣기 딱 좋지만 미드 이전에 외화시리즈 시절을 기억하신다면 전격 Z작전을 기억하고 계실 겁니다. 똑똑하고 튼튼한 자동차를 몰며 악당과 맞서는 주인공의 활약은 근사했죠. 물론 가장 멋졌던 건 언제든 부르면 스스로 달려오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전형을 보여줬던 키트(Kitt)인데요. 이후 미드로 다시 리부트 했다가 실패하고 대중의 관심에서 다시 멀어졌지만...
키트에 대한 추억을 갖고 있는 건 비단 우리뿐은 아니겠죠. 미국에서도 종종 키트를 콘셉트로 한 제품들이 나오곤 하는데요. 명확히 키트를 표방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시봇(Dashbot)이란 이름의 이 자동차용 디바이스는 키트를 추억하게 합니다.
아마존의 음성 비서 서비스인 알렉사(Alexa)를 이용해 자동차 안에서 음악을 듣고 길 찾기를 도와주며, 문자를 보내거나 읽고 음성 통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당연한 얘기지만, 이 작은 녀석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게 아니라 스마트폰과 연결함으로써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고 알렉사 기반인 만큼 모두 음성으로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 잡음까지 최소화해 더 똑똑하게 사용자의 목소리를 알아듣는다고 하네요.
꽤 재밌는 제품이기도 하고, 자동차 안이니 저처럼 부끄럼쟁이라도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장점도 있는데요. 가격도 49달러(6만 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해서인지 킥스타터에서도 무난히 목표한 액수의 두 배 이상을 모으며 상품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제품을 바라볼 때 가장 중요한 건 텍스트로 검색하고 터치로 컨트롤하던 시대를 넘어 음성 컨트롤이 대세가 되는 시대를 열기 위한 이들의 노력이 빠르게 증대되고 있다는 게 아닌가 싶네요.^^
[관련 링크: Kickstarter.com]
댓글 영역
역시 아내가 늘 말하듯 제 감각은 꽝이군요.
알락사.. 발음하기 힘들어서 저는 에코라고 부르는데요. 뭐 제가 미국인이 아니라서 발음을 잘 못 알아듣는건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전을 맡기기에는 무척위험한... 물론 현재 수준은 그냥 간단한 명령이겠지만요.
음성은 완전히 사람같구요. 구글홈에 비하면.. 알아듣는것보단 말하는 자연스러운음 월등합니다.
그나저나 디자인은.. 왜 저렇게 했는지.. 레트로야... 저렴하네요.
정을 주고 있습니다. 두고는 봐야하지만.. 생각만큼 구글이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한것 같네요.
다양한 예측이 가능한데요. 일단 스마트폰과의 연동은 구글이 더 괜잖을진 몰라도 와이파이 지원만하는 패쇄성 때문에 범용성에서는 에코가 블루트스 지원으도 더앞서구요. 서비스도.. 아마존의 엄청난 유통의 힘으로. 소비자가 보기에는 구글 뮤직이나. 스파트파이 등의 라이브러리 보다는 앞선는게 아직은 게임 체인지의 역부족일수도 있겠죠.
하나더 중요한건 음성은 정말 에코가 훨씬 구글홈보다 앞섭니다. 이런면에서 구글홈은 시장방어를 위한 구글의 조잡성이 드러날수 밖에 없다고 봐야겠네요. 그런면에서.. 거대 유통과 다양한 고객을 선점하겠다는 아마존이 더 개방적이고. 안드로이드폰과 연결하겠다고 야심찬 계획을 한 구글의 (애플과의 반대인 개방성) 구글홈에서 찾아보기 힘든 희안한 방향들로.. 시장을 어지럽게 하고 있죠.
다음버전에서는 좀더 개방된 모습일거라고 생각합니다만..
아직까지는 구글홈보다는 에코로 기업들도 많이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