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는 그저 돈... 푸르덴셜 CF 두번째...
이번에도 주인공은 아버지다.
아니 죽은 아버지다.
자녀를 대학보내고 유학보내고 결혼 시키는 돈은 모두 아버지의 보험금이다.
마지막 카피가 인상적이다.
'당신은 푸르덴셜 아버지입니까? = 당신은 보험들고 죽은 아버지입니까?'
보험이라는 것이 예상치 못한 일을 당했을 때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는 안전장치가 되어줘야 함에도... 보험의 홍수를 살고 있는 요즘. 정말 그런 보험 상품들이 있는지 의심스럽기까지 한 상황이 아니던가? 그저 자기들 수익 불리기에만 급급한...
더욱이 아버지의 위상이 땅에 떨어지고 아니 가족 내에서 아버지의 존재가 실종되어 버린 요즘... 푸르덴셜의 광고는 묘하게 가부장적이면서 노골적으로 아버지를 배척하고 있다.
아버지란 존재는 집에 돈만 벌어다 주면 되는 존재이고 그 역할을 못하게 되면 보험으로라도 목돈을 챙겨준체 가족 안에서 사라지라는 서늘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부디 내 생각이 지나친 것이길 바란다.
푸르덴셜의 생각이 옳았길 바란다.
하지만 아버지=돈으로 치환해 놓고 바라보는 그들의 시각은 영 마뜩치 않다.
댓글 영역
물론 젊은 나이에 갑작스런 사고로 사망한다면 모르겠지만 저는 그 만약의 사고사망을 대비하여 없는 형편에 백만원 이상을 허리띠 졸라매며 보험사에 납입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럴 능력도 없구요...
십억이라는 돈에 시청자들은 혹하겠지만 십억을 보험금으로 받는다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십억을 보장자산으로 받을만한 큰 보험을 들 여력이 있는 가정이라면 보험금 안타도 그럭저럭 살아갈만 할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현실성없는 과대광고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처자식을 위하여 자신의 죽음을 대비하는 것엔 공감하지만 어필방법이 마음에 들지는 않습니다.
아이도 해맑게 웃는다. 그리고 대문 밖에서 예쁜 정장을 입은 쎅시하고 젊은 보험설계사가 반갑게 인사를 한다. 남자역시 행복한 미소를 지으며 CF는 끝난다.
남녀 편가르기를 떠나서 CF 이렇게 한번 만들어 봤으면 하는생각입니다.
아마 반발 엄청날겁니다.
오히려 글을 쓰신 분의 머릿속에 아버지는 돈 벌어다주는 사람으로 박혀있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지금 세태를 비관하시는 것이 말이죠..
글의 논점이 무엇인지(보험 광고에 대한 이야기잖아요.그쵸?그 표현방법에 대한 이야기이구요.)무슨 말씀을 하고 싶어하시는 줄은 알겠지만 글을 보면서 아버지의 위상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지금 사회가 그렇게 아버지의 위상이 추락해있나요? 과거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대와 비교해서 그렇다는 건가요? 여전히 아버지는 가정내에서 존경받고 소중한 사람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너무 평탄하고 화목하게 살아와서 그런지 몰라도..(나이 먹을 만큼 먹은 30대입니다)주변에서도 그렇고 우리 집에서도 아버지는 정말 너무 너무 소중하고 거역할 수 없는 큰 나무와 같은 존재입니다. 아버지는 돈버는 기계라는 소리는 정말 듣기 싫습니다.오히려 언론이라던지 이렇게 공개된 장소에서 남자의 위상이 떨어졌네..남자는 돈버는 기계네..하는 것이 사람들의 머릿속에 편견을 심어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다 맞벌이라..그 말도 100% 맞지도 않죠)
사람들이 느끼끼에는 자식들을 위해 보험들고 죽어라... 라고 오해를 살 여지가
충분 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 광고를 보면 섬뜩 해지고 현실은 그런것인가.. 라는 생각에
보험에 대한 인식이 꺼려지는게 사실 입니다.
제가 보긴 대한민국 아버지들이라면 가족을 위해, 자식을 위해 이런 생각, 이런 고민 다들 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대한민국 아버지들의 위상이 바닥에 있다고만 하는데 묵묵히 가족과 나라를 위해 노력하는 가장들이 얼마나 많이 계신지, 그런 아버지들을 존경하는 가족들이 얼마나 많이 있는지 아시나요?
이런 아버지들이 가족을 위한 안심장치로 종신보험 하나씩 들어놓자는 이야기 같아요. 제가 보긴 블로거 쥔께서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신 생각만 하는 것 같아요.
예전 광고는 저도 싫었지만 같은 회사 광고라고 무조건 한 쪽 생각으로만 가는 건 아닌거죠. 아버지 입장에서 가장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다를 수 있지 않나요?
전 이 광고가 내포한 내용이 이 땅의 아버지들의 고민과 자식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오히려 이 광고를 보는 자식들이 미안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아버지의 부재.. 생각만해도 슬픈데 말이죠.
이 광고도 지난번 10억광고처럼 아마 최악의 광고로 뽑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그리고 위에 어떤분 말씀대로.. 정말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광고네요.
푸르덴셜의 경우 종신보험을 판매하기때문에 아무래 광고도 저렇게 나오는거같아요.
쩝...
보험에 목숨걸고 2년 동안 보험에 올인하고 자살해버리면 가능하겠지만...설마 그걸 조장하는건 아닐것이고... 결국 이건 아니다 싶었는지 두번째 광고가 나왔네요.
어떤 보험광고든 항상 행복한 가정이 그려지기 일쑤죠. 하지만 푸르덴셜은 좀 다르죠.
일반적인 이미지와 뉘앙스라는게 있습니다. 푸르덴셜의 광고는
돈을 받아 너무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그립니다. 그게 문제란거죠. 사람이 죽었는데
어떻게 저렇게 모두 해맑게 웃고 있습니까? 거기 반발심리가 작용하는거죠.
죠.
제가 위에서 글을 쓰다보니 아버지 얘기를 많이 했는데, 남녀편가르기 말씀까지 나오네요. 편가르기가 아니라 최근 대한민국 아버지의 모습입니다.
첫번째 광고를 어머니로 바꿔볼까요? 위에 어떤분이 하셨는데 다시 해보죠.
(셀프세차하고 있는 아버지, 그네타는 아들 등장)
- 멘트 시작 -
10억을 받았습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도와주면서, 부인과 약속이라도 한듯
이 사람. 이제 우리 가족의 라이프플래너입니다.
보험설계녀와 행복하게 얘기하는 아버지...
아마 이런 광고 나오면 저런 때려죽일 아버지가 있나...그런 분위기로 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10억 줄리도 없지만, 즉 과대광고죠.
딱 보는순간, 두아이의 아버지로써 섬찟했습니다.
내 몸둥아리가 돈으로 보이는건지... 참내...
이 회사는 이제 기억속에서 지워버리겠습니다.
저는 현재 결혼적령기라 불릴 나이지만 하고싶지 않습니다.
이기적인 여자 잘못만나 돈버는 기계로 살다가 죽긴 싫군요.
님들 얘기하신 것처럼...돈돈돈 하는게 아니라...
내거 죽어서..우리 아이와 아내는 정말슬퍼서...몇개월 혹은 몇년동안 슬픔에 정신을 못차리겠지요...하지만 그 슬픔에서 적응이 되어 혹은 슬픔에서 깨어나면...남은 건 현실일겝니다.
남은 여생을 살아갈만한 유산을 남겨주지 못하고 떠나니..아내는 저를 그리워 하면서도 돈을 벌기위한 밖으로 나가야 할테고...아이는 엄마가 나가있는동안...혼자 혹은 할머니와 지내야 하것입니다. 생각해보면...감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이중고를 겪는겔겁니다.
어차피 죽음을 맞닥뜨리고 슬퍼하는건 당연하지만...경제적인 어려움은 보험을 통해 막을 수 있겠죠...
뭐 그런생각이 들지 않나요?
제가 듣기로 이케이스도 치과의사같은 전문직종 종사자가 고액의 보험료를
납입하고 한두달만에 사고를 당한 케이스로 알고있는데
이런 경우는 흔치 않는 겁니다...
흔치않은 경우를 예로들어 일반화 한다면 과대광고 아닌가요?
마치 카지노가면 대박을 터트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듯이...